관련 명칭
비만세포트립타제
알파트립타제
베타트립타제
Tryptase
정식 명칭
트립타제 (Total Tryptase)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04일.
요약
검사의 목적

과민증, 비만세포증가증 및 비만세포 활성화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치명적인 알레르기 반응에 기인한 홍조, 오심, 인두 부종 및 저혈압 증상이 있을 경우; 비만세포 증가증 및 비만세포 활성화가 의심될 경우 검사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다만 증상이 시작된 직후 검체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본 검사는 혈 중 트립타제의 양을 측정합니다. 트립타제는 알레르기 면역 반응의 일환으로 활성화된 비만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히스타민 및 다른 화학물질과 더불어 분비되는 효소입니다.

비만세포는 체내에 전체적으로 존재하는 큰 조직 세포이며 특히, 피부, 장과 기도의 표면 및 골수에 가장 많이 존재합니다. 비만세포는 알레르기 반응(과민반응)뿐만 아니라 손상에 대한 신체의 정상적 반응의 일환으로 존재합니다. 이 세포는 트립타제와 히스타민을 포함한 과량의 화학물질을 함유한 과립을 내포하고 있으며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이들이 분비됩니다. 알레르기와 기생충 감염이 있는 사람에서 종종 증가하는 항체 종류인 IgE 에 비만세포가 인지하고 결합합니다. 비만세포의 표면에 결합한 IgE가 표적 항원에 부착하게 되면 비만세포는 활성화되고 내포 물질을 분비하게 됩니다. 비만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화학물질(특히 히스타민)은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서 보일 수 있는 증상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비만세포는 알파 트립타제와 베타 트립타제로 명명된 서로 다른 형태의 트립타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둘 다 비활성형(전구트립타제)과 활성형을 갖습니다.  체내에서 베타 트립타제는 전형적인 성숙트립타제의 주요 형태입니다. 검사는 총 트립타제를 측정하는 것인데 이는 모든 형태를 함께 측정하거나, 알파와 베타 트립타제의 성숙형인 성숙 트립타제를 측정합니다. 총/성숙 비율로 두 검사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 때로 유용할 수도 있습니다.

정상적인 혈중 트립타제 농도는 매우 낮습니다. 비만세포가 활성화되면 혈중 수치가 빠르게 증가하여 15-30분내에 상승하며, 1-2시간에 최고치에 도달하고 수 시간에서 수 일 후 정상화됩니다. 심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많은 수의 비만세포가 활성화되어 아나필락시스라 불리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 초래될 수 있는데 이는 저혈압, 두드러기(피부 물집), 기도의 심한 협착과 심지어 사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트립타제 수치는 아나필락시스가 있는 사람에서 매우 높게 됩니다.

일부 경우에는, 비만세포 활성화 질환이 있는 사람에서 트립타제 수치가 높은데 이런 경우 특별한 알레르기나 다른 반응 없이도 비만세포가 활성화됩니다.

트립타제 수치가 비만세포증가증에서 심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데 비만세포의 종양성 증식과 침습 및 피부 (상피 비만세포증가증) 및 체내 장기(전신적 비만세포증가증)에 축적되는 질환들이 비맘세포증가증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전신적 비만세포증가증은 서서히 진행하며 상대적으로 더디거나 공격적일 수 있으며 장기의 기능이상을 유발하거나 드물게 백혈병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다만 증상이 시작된 직후 검체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액 채취에 가장 적합한 시간에 대해 의사와 상의하세요.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트립타제 검사는 비만세포 활성의 유용한 지표입니다. 아나필락시스 진단을 확인하거나 비만세포증가증을 진단하는데 이용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총 트립타제 검사가 의뢰되나 간혹 총 트립타제와 성숙 트립타제 검사 모두가 의뢰될 수 있으며 두 결과의 비가 비교됩니다. 혈중 주된 성숙 트립타제가 베타 트립타제이므로 총 트립타제와 베타 트립타제 간의 비교가 이루어집니다.

    아나필락시스는 일차적으로 임상적으로 진단되지만 급성 증상의 원인이 아나필락시스 임을 확인하기 위해 히스타민 검사와 함께 총 트립타제 검사가 의뢰됩니다. 특히 이런 증상이 자주 있거나 진단이 불확실할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트립타제 검사는 비만세포증가증이나 비만세포 활성화 질환의 진단을 위해 의뢰됩니다. 피부 비만세포증가증은 전형적으로 피부의 문제(특히 두드러기)만을 유발하나,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이나 비만세포활성화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은 아나필락시스 및 이와 관련한 증상을 갖게 됩니다.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이 있는 환자는 비만세포 침습에 의해 영향 받은 장기와 관련된 지속적 증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이 의심되는 경우 비정상적 트립타제 검사에 이어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이 있는지 보기 위해 골수 흡인 및 생검이 시행됩니다. (이 질환에서는 전형적으로 골수에 많은 수의 비만세포 증가가 관찰됨)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거나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다른 검사가 의뢰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을 찾기 위해 다른 특이 알레르기 검사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적혈구 및 백혈구를 평가하기 위한 CBC(총 혈구 계산) 검사, 장기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CMP(전체적 대사 패널검사), 홍조, 설사 및 쌕쌕거림과 같은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암성 종양을 배제하기 위한 5-HIAA(5-hydroxyindoleacetic acid) 요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위나 장의 궤양이 존재할 경우 높은 가스트린 수치가 원인이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가스트린 검사가 시행됩니다.

    간혹 아나필락시스가 사망의 원인이었는지 보기 위해 사후 트립타제 검사가 시행되기도 합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트립타제는 자주 의뢰되는 검사가 아닙니다. 종종 트립타제 검사 없이 아나필락시스가 진단되기도 하며 비만세포증가증은 드뭅니다. 환자가 아나필락시스가 의심되는 증상이 있을 때 특히 진단이 불분명하며 증상이 잦을 경우 트립타제 검사가 간혹 의뢰됩니다. 아나필락시스의 증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 홍조
    • 인두, 안면, 혀, 눈의 부종
    • 저혈압
    • 오심, 구토, 설사, 복통
    • 부정맥
    • 두경감 및 현훈
    • 호흡 곤란, 쌕쌕거림
    • 가려움증, 특히 보일 정도의 두드러기
    • 혼돈 및 의식 소실

    이 증상들의 상당 수는 다른 질환에서도 보일 수 있습니다.

    환자가 피부성 또는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 이나 비만세포 활성화 질환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의뢰할 수 있습니다. 이런 질환이 있는 사람은 특정 음식(땅콩과 같은)에 노출되거나 벌에 쏘이는 등의 특정 유발원인이 없음에도 심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서 나타날 수 있는 상당수의 동일한 증상이나 신호를 보입니다.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이 있는 환자는 소화성 궤양, 만성 설사 및 관절통과 같은 장기 침습을 시사하는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간과 비장과 같은 장기의 비대 또는 림프절 크기의 증가가 관찰되기도 합니다. 발진이나 단독 또는 수 백개 이상 나타날 수 있는 특징적 붉은 물집 병변 등의 피부 침범이 있기도 합니다.

    간혹 아나필락시스가 사망의 원인이었는지 보기 위해 사후 트립타제 검사가 의뢰되기도 합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정상 트립타제 결과는 환자의 증상이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이거나 채혈 시기의 문제로 인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나필락시스가 있을 경우 트립타제 수치는 증상 발현 후 1-2시간에 최고조에 이른다. 채혈이 너무 이르거나 늦으면 결과는 정상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히스타민 검사가 역시 시행되었다면 트립타제 수치와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히스타민 수치는 아나필락시스 발현 후 수분 내에 최고조에 이르며 약 1시간 내에 감소합니다. 채혈 시기가 적절했고 히스타민과 트립타제 농도 모두 증가하지 않았다면 환자가 아나필락시스일 가능성은 낮으나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아나필락시스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급성 증가된 트립타제 수치를 보이면 진단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집니다.

    비만세포증가증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는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급성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증가된 “baseline(기저)” 트립타제 수치를 보일 경우 환자가 본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나 다른 검사를 통해서 확진되어야 합니다. 트립타제 수치는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이 있는 환자에서도 비만세포의 부하량과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총 트립타제와 성숙(특히 베타형태) 트립타제 검사가 시행되어 비교될 경우 <10의 총/성숙 트립타제 비(total-to-mature)는 아나필락시스를 시사하며 >20은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을 시사합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트립타제는 천식, 골수이형성 증후군(골수 질환의 한 형태),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비만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다른 질환들에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비만세포로부터 트립타제의 분비는 다양한 종류의 물질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음식에 대한 반응이 가장 흔한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누구나 비만세포증가증이 있을 수 있으나 소아가 더욱 흔히 피부성 비만세포증가증에 이환됩니다. 소아에서 비만세포증가증은 자연소실이 훨씬 잘 일어나며 일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연구에서 일부 전신성 비만세포증가증 예와 유전적 변이를 연관시켰다. 규명된 흔한 변이 중 하나가 코돈 816 KIT 변이입니다. 이 변이에 대한 검사는 통상적이지는 않으나 간혹 시행되기도 합니다.

    호염기구 역시 소량의 트립타제를 생산합니다.

  • 트립타제 검사가 진료실에서 시행될 수 있나요?

    아닙니다, 트립타제 검사는 특화된 검사로서 모든 검사실에서 시행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참고 검사기관으로 보내져야 합니다.

  • 내가 알레르기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트립타제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당신에게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의사가 특정 알레르기 검사를 의뢰할 수 있습니다. 트립타제 검사는 심한 알레르기 증상(아나필락시스에서 보일 수 있는 증상)이 있을 경우에만 시행합니다. 알레르기가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트립타제 검사를 시행할 필요는 없습니다.

  • 아나필락시스는 어떻게 치료하나요?

    아나필락시스는 급속히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에피네프린과 다른 약제를 투여하는 응급 처치를 요합니다. 최초 발현 후 수 일내 아나필락시스가 재발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주의 깊은 관찰이 이어져야 합니다.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은 항상 에피네프린을 응급 주사할 수 있는 킷트를 소지하고 다니도록 장려해야 합니다.

  • 트립타제 수치가 증가하였다면 비만세포증가증이 있음을 의미하나요?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트립타제는 단지 비만세포증가증을 진단하기에 앞서 고려하는 기준 중의 하나일 뿐이고 이 질환은 매우 드문 질환입니다.

원문보기

Delgado, J. et. al. (Updated 2010 February). Anaphylaxis. ARUP Consult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arupconsult.com/Topics/Anaphylaxis.html?client_ID=LTD# through http://www.arupconsult.com. Accessed May 2010.

Grenache, D. and Ho, A. (Updated 2009 November). Mast Cell Disease. ARUP Consult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arupconsult.com/Topics/MastCellDz.html?client_ID=LTD through http://www.arupconsult.com. Accessed May 2010.

Delves, P. (Revised 2008 September). Mastocytosis. Merck Manua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mpe/sec13/ch165/ch165f.html?qt=tryptase&alt=sh through http://www.merck.com. Accessed May 2010.

Check, W. (2009 December). Allergy testing: from skin to tube to chip. CAP Today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through http://www.cap.org. Accessed May 2010.

(© 1995–2010). Unit Code 91815: Tryptase, Mayo Clinic, Mayo Medical Laboratorie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test-catalog/Overview/91815 through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 Accessed May 2010.

(© 1995–2010). Unit Code 81572: Tryptase, Immunostain. Mayo Clinic, Mayo Medical Laboratorie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test-catalog/Overview/81572 through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 Accessed May 2010.

Peavy, R. and Metcalfe, D. (2008 September 22).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Anaphylaxis. Medscape Today from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8;8(4):310-314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579500 through http://www.medscape.com. Accessed May 2010.

Hogan, D. and Martino, C. (Updated 2009 September 11). Mastocytosis.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057932-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May 2010.

Kemp, S. and Palmer, G.W. (Updated 2009 April 29). Anaphylaxis.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35065-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May 2010.

Tharp, M. (© 2010). Mast Cells and Their Mediators.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aad.org/education/students/mastcells.htm through http://www.aad.org. Accessed May 2010.

Metcalfe, D. (2008 August). Mast cells and mastocytosis. Blood 15 August 2008, Vol. 112, No. 4, pp. 946-956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bloodjournal.hematologylibrary.org/cgi/content/full/112/4/946 through http://bloodjournal.hematologylibrary.org. Accessed May 2010.

Krishnan, K. et. al. (Updated 2009 October 4). Mastocytosis, Systemic.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203948-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May 2010.

Kasper DL, Braunwald E,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eds, (200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ition, McGraw Hill, Pp 1950, 1953-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