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단핵구증 검사(Mononucleosis Spot Test)
단핵이종항체(Mononuclear Heterophile Test)
이종친화항체(Heterophile Antibody Test)
정식 명칭
감염단핵구증(Infectious Mononucleosis Rapid Test)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27일.
요약
검사의 목적

전염단핵구증을 발견하거나 진단에 도움을 주기 위해 검사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특히 청년기에서 발열, 인후통증 및 부종, 피로 등의 증상이 있을 때 검사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단핵구증 (혹은 mono)은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Epstein-Barr virus, EBV) 감염에 의해 생깁니다. 감염은 청년기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특정 증상들이 특징입니다. 이환된 경우 발열, 인후통증 및 부종, 피로 등의 증상을 보이며 많은 경우 비장종대나 간혹 간종대를 보이기도 합니다. 증상은 보통 감염 1달부터 시작되어 몇 주 지속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피로는 몇 달을 지속될 수 있습니다. 보통은 자연적으로 회복되며 특별한 치료 없이 증상은 회복됩니다.

EBV는 매우 흔합니다. 미국 질병관리본부 (CDC)에 따르면, 미국인의 95%에서 40세 이전에 EBV에 감염된 기왕력이 있습니다. 긴밀한 접촉과정에서 침으로 사람간 전파가 일어납니다. 대부분 EBV 감염은 소아기에 일어나고 거의 증상이 없으나 청년기에 처음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감염된 사람의 절반 가량에서 전염단핵구증(mono)과 연관된 증상이 생깁니다. 이 질환은 어떤 연령대에도 가능하지만 고등학생, 대학생 및 군대 같은 젊은층에서 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전염단핵구증검사는 EBV 감염의 반응으로 만들어진 이종친화항체를 검사합니다. 전염단핵구증에 걸린 약 70%에서 80%에서 이종친화항체를 가집니다. 이 단백질은 EBV에 특이적이진 않지만 전염단핵구증 증상과 동반되어 청년기에서 발견될 경우 전염단핵구증을 진단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혈액도말에서 비전형적인 백혈구(주로 반응성 림프구 reactive lymphocytes로 보고됨) 의 출현과 EBV 항체의 검출도 전염단핵구증의 특징적 소견입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전염단핵구증 검사는 전염단핵구증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전염단핵구증인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흔히 총혈구수와 함께 처방됩니다.

    총혈구수는 백혈구수의 증가가 있는지 유의하게 반응성 림프구가 증가했는지를 결정하기 의해 시행됩니다. 연쇄알균검사가 환자의 인후통이 단핵구증이라기보다 혹은 동반되어 연쇄알균감염에 의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시행될 수 있습니다. 

    전염단핵구증 검사가 초기 음성이나 의사가 계속 의심한다면 일주일 내에 재검을 실시하거나 이종친화성 항체 혹은 EBV 항체검사를 최근 EBV 감염을 배제하거나 확인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전염단핵구증 검사는 청년기에 전염단핵구증이 원인일 거라고 의심되는 증상을 보일 때 일차적으로 시행합니다. 간혹 감기나 독감 증상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단핵구증의 흔한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발열
    • 두통
    • 인후통
    • 목이나 겨드랑이의 분비샘의 부종
    • 계속된 쇠약 혹은 피로

    일부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위장관 통증
    • 간이나 비장 종대
    •  발진

    초기검사가 음성이어도 계속 의심된다면 추가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전염단핵구증 검사가 양성이고, 백혈구증가, 반응성 림프구 및 단핵구증 증상이 있으면 전염단핵구증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증상과 반응성 림프구가 있으나 전염단핵구증 검사가 음성이면 이종친화성 항체가 검출되기에 이른 시기이거나 환자가 이종친화성 항체를 생성하지 않는 소수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단핵구증을 확인하거나 배제하기 위해 다른 EBV 항체 검사와 전염단핵구증 검사를 반복 검사해 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아나 어린 소아는 이종친화성 항체를 생산하지 않으므로 EBV 감염이더라도 전염단핵구증 검사에서 음성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이 연령대에서는 증상이 거의 없으므로 검사도 자주 시행되진 않습니다.

    전염단핵구증 검사가 음성이고 반응성림프구가 거의 없는 사람들은 단핵구증 유사 증상을 보이는 거대세포바이러스 나 톡소플라즈마 같은 다른 미생물 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임신 중 감염이라면 EBV가 아닌 단핵구증 유사 감염의 결루 합병증 및 태아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어 원인을 밝히는 게 중요합니다. 연쇄구균에 의한 인후염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한데, 항균제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전염단핵구증 검사는 빠르고 간편한 검사이나 EBV가 아닌 이종친화성 항체에 특이적인 검사입니다. 림프종, 전신홍반루푸스 및 일부 소화기계 종양에서 보이며, 그러나 이들 질환을 선별하거나 진단하는데 쓰이지는 않습니다.

    전염단핵구증 검사가 음성이지만EBV 감염 상태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원한다면 하나 이상의 EBV 항체 조합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들 검사는 EBV 감염에 감수성이 있는지, 최근 감염 및 과거 감염 혹은 재활성화된 EBV 감염인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종친화성 항체 는 이환 4주부터 감소하여 감염이 회복됨에 따라 모노검사는 음성으로 전환됩니다.  

  • 전염단핵구증은 얼마나 심각한가요?

    질환의 증상은 치료 없이도 1달에서 4달 정도면 회복됩니다. 간혹 비장이나 간이 커지면 정상으로 회복될 때까지 활동에 재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장의 문제나 중추신경계 침범은 드물게만 발생합니다. 특이 XLP 유전자를 가지는 남성에서는 중증의 간부전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드문 경우에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 단핵구증은 정말 “키스병” 인가요?

    EBV 전파는 감염된 사람의 침을 통해 긴밀한 접촉이 필요하지만, 키스가 감염에 필수적인 건 아닙니다. 어린이 장난감, 칫솔, 물컵 및 손에 묻은 타액으로 바이러스 전파가 가능합니다. 공기나 혈액을 통한 전파는 정상적으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잠복기 혹은 감염 후 증상이 생기는 시기는 4주에서 6주정도입니다.

    전염단핵구증에 걸린 사람은 몇주간은 타인에게 전파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 감염되었던 많은 건강한 사람들이 일생동안 바이러스를 갖고 있으며 간헐적으로 전파할 수 있으나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것은 실질적이진 않습니다. 이런 이유로 바이러스 전파를 에방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거의 모든 사람이 40세 이전에 단핵구증은 아니지만 EBV 감염을 갖게 됩니다. 

  • 엡스테인 바 바이러스가 만성피로증후군을 일으키는가요?

    EBV 감염이 만성피로증후군을 일으킨다는 근거는 없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얻으려면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s web site에 방문하세요.

  • 한번 이상 전염단핵구증에 걸릴 수 있는가요?

    전염단핵구증의 증상이 주오 1달에서 두달이면 사라지지만 몸안의 일부 세포에 EBV가 일생동안 불활성화되어 남아있습니다. 주기적으로 바이러스는 재활성화될 수 있고 감염된 사람의 타액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이러한 재활성화는 보통 질환의 증상을 동반하지 않습니다.

  • EBV는 다른 심각한 질환을 초래하는가요?

    EBV는 버킷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비인두암 및 에이즈 관련 림프종 같은 일부 종양과 연관되며, 다른 종양과의 연관성도 계속 연구중입니다. 이러한 질환이 드물고 버킷 림프종이나 비인두암은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원문보기

현재 참고 페이지

Pagana, K. D. & Pagana, T. J. (© 2007).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8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p 662-663.

Cunha, B. (Updated 2008 October 17). Infectious Mononucleosis.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222040-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May 2009.

Omori, M. (Updated 2009 April 02). Mononucleosis.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784513-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May 2009.

Smith, D. S. (Updated 2008 September 3). Mononucleosi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591.htm. Accessed May 2009.

Smith, D. S. (Updated 2008 September 3). Mononucleosis spot test.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454.htm. Accessed May 2009.

이전 참고 페이지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2001).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5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p 594-595.

Corbett, JV. Laboratory Tests & Diagnostic Procedures with Nursing Diagnoses, 4th ed. Stamford, Conn.: Appleton & Lang, 1996. Pp. 373-374.

Ebell, M. (2004 October 1). Epstein-Barr Virus Infectious Mononucleosis. American Family Physician [On-line journal]. Available online at http://www.aafp.org/afp/20041001/1279.html through http://www.aafp.org.

Schmid, S., Leader Herpesvirus Group (2005 September 13, Updated). Epstein-Barr Virus and Infectious Mononucleosis. CDC, National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cdc.gov/ncidod/diseases/ebv.htm through http://www.cdc.gov.

National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s. Epstein-Barr Virus and Infectious Mononucleosis. Available online at http://www.cdc.gov/ncidod/diseases/ebv.htm through http://www.cdc.gov.

Nebraska Health and Human Services System. Infectious Mononucleosis (Mono) Disease Fact Sheet. Available online at http://www.hhs.state.ne.us/epi/epimono.htm through http://www.hhs.state.ne.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