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 명칭
렙틴(Leptin)
수정일 2019년 02월 28일.
요약
검사의 목적

비만에 관여하는 렙틴 결핍을 확인하기 위하여; 렙틴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체네 렙틴의 역할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검사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소아에서 심한 비만인 경우, 유전적인 렙틴 결핍에 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 또한 비만을 평가하고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렙틴은 아디포카인으로 지방세포(adipocytes)에서 일차적으로 생성되는 호르몬이며 임신한 여성의 태반을 포함한 다른 조직에서도 낮은 수준으로 생성됩니다. 이 검사는 혈액에서 렙틴의 양을 측정합니다.

렙틴은 충분한 음식이 섭취되면 시상하부 수용체에 결합하여 포만감을 느끼게 함으로서 식욕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호르몬입니다. 정상적인 조절기능에서는 렙틴의 농도가 낮으면 배고픔을 느껴 음식의 섭취를 증가시킵니다. 지방세포가 증가하여 렙틴의 농도가 높아지면 반대로 배고픔을 억제하고 음식섭취를 중단하게 됩니다. 

렙틴 농도가 부족하면 지속적으로 배고픔을 느끼게 하여 신체가 지속적인 굶주림(기근)으로 부터 보호하게 만듭니다. 매우 드물지만 유전적 랩틴 결핍이 있으면 유아기에 지속적으로 배고픔을 느껴 음식을 섭취하게 되므로 심각한 비만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랩틴 보충 치료가 이러한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비만은 흔히 증가된 렙틴 농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이것은 비만에서 보이는 인슐린 저항성과 유사하게 렙틴 저항성 때문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사람에서는 렙틴의 작용에 저항을 나타내어 충분한 음식을 섭취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배고픔을 느끼게 됩니다. 신체는 보상기전으로 더 많은 렙틴을 생성하여 지속적인 배고픔에 반응하게 됩니다. 그러나 대략 비만 환자의 약 10%는 어느 정도의 렙틴 결핍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만과 렙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비만은 미국에서는 주된 건강 문제이며, 혈압 상승(고혈압), 이상 지질 혈증(고콜레스테롤, 고중성지방), 2형 당뇨병, 관절 문제, 수면 무호흡증, 심혈관질환, 뇌졸증과 일부 암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지난 20년에 걸쳐 전 연령에서 비만의 빈도는 지속적으로 높아졌으며,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성인의 1/3 이상과 어린이와 청소년의 17%가 비만으로 분류됩니다. 비만의 분류는 체질량 지수(BMI)를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흔한 질문 2번 참고). 

최근 연구는 일부 환자에서 체내의 초과 지방을 예측하는데 렙틴 농도가 기존의 체질량 지수보다 더 정확하다고 밝혔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중 렙틴의 농도가 높으면 더 많은 지방 조직을 갖게 됩니다. 특히 나이가 든 여성과 근육량이 많고 골밀도가 높은 사람과 같이 BMI 점수가 잘못 될 수 있는 경우에서 보다 정확하였습니다. 

렙틴과 비만의 상관관계와 체내 렙틴의 역할을 밝히기 위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비만이지만 렙틴이 결핍된 환자에서 렙틴을 기반으로 한 치료가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임상적인 유용성이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렙틴 검사가 흔히 시행되지는 않습니다. 대부분의 검사는 렙틴의 기능을 밝히기 위한 연구 검사로 시행되고 있습니다. 

    임상적으로는 조기 발병 비만의 가족력이 있는 소아 비만 환아에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간혹 빈번하고 지속적으로 배고픔을 느끼는 비만 환자에서 렙틴 결핍 또는 증가 여부를 확인하기 시행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만환자에서 건강상태를 평가하고 기저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지질패널, 갑상선 패널, 포도당, 인슐린, 당화혈색소와 같은 다른 검사와 함께 시행합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렙틴 검사는 주로 렙틴의 기능을 밝히기 위한 임상 연구 검사로 시행됩니다. 

    연구 검사 이외의 목적으로 흔히 처방되지는 않으나, 비만으로 분류된 소아에서 특히 조기 발병 비만의 가족력 있는 경우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비만 환자에서 렙틴 결핍 또는 증가(렙틴 저항성인 경우) 여부를 확인하기 시행합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비만 환자에서 렙틴 수치의 감소는 어느 정도의 결핍을 나타내는 반면, 증가된 농도는 렙틴의 작용에 저항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부분의 비만한 사람에서는 농도가 증가되어 있으나, 약 10%에서는 어느 정도의 렙틴 결핍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매우 드물게 렙틴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는 경우 심각한 비만과 연관된 유전적 렙틴 결핍일 수 있습니다. 

    렙틴 분비는 일주기 패턴을 따르므로 24시간(낮보다 밤에 더 높음) 주기 동안 혈중 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렙틴 농도가 높습니다. 임신중 렙틴 농도가 증가하며 임신성 당뇨 또는 전자간증이 있는 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검사하지는 않습니다. 

    임상적으로 호르몬의 과잉 또는 결핍을 평가하기 위한 렙틴 결과의 유용성이 아직 충분히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희귀 유전 결핍을 가진 환자에서 렙틴 보충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경도의 결핍이 있는 환자에서도 치료 효과가 있을지에 대한 연구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기타 렙틴과의 관련성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관상동맥질환과 염증을 유발하는지 또는 관상동맥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지
    • 임신성 당뇨와 전자간증에서 증가되는지
    • 다산과의 연관성
    • 우울증, 스트레스, 불안과의 연관성
    • 혈당 수치를 유지하는 역할과 인슐린과의 상호작용
    • 렙틴 수치와 체중감소, 배고픔 사이의 관계
  • 과체중인 사람은 렙틴 검사를 받아야 합니까?

    렙틴 검사는 흔하게 시행되지는 않으며 대부분의 사람에서 필요하지 않습니다. 지속적으로 배고픔을 느끼는 비만 환자이거나 심각한 소아 비만 환아에서 렙틴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체중 분류는 어떻게 합니까?

    체질량 지수 또는 BMI를 근거로 분류합니다.

    청소년에서는 BMI 백분위수를 결정하기 위해 체중과 키뿐만 아니라 연령과 성별을 고려해야 합니다. 표준성장곡선에서 BMI가 85에서 94 백분위에 해당하는 청소년은 과체중에 해당합니다. 표준성장곡선에서 95백분위수를 초과하거나 BMI가 30 kg/m2 이상인 청소년은 비만입니다.

    성인의 경우 BMI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BMI = (체중kg) / (키(m)2)

    BMI                 Classification

    <18.5                  저체중

    18.5 – 24.9         정상체중

    25.0 – 29.9         과체중

    >30                     비만

  • 렙틴 검사를 진료실에서 시행할 수 있습니까?

    렙틴 검사는 진료실에서는 시행할 수 없으며 대부분의 검사실에서 시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문 검사실에 검사를 의뢰해야 합니다. 

  • 렙틴 농도를 낮추거나 높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까?

    렙틴 농도는 비만 환자에서 체중을 감량할 때 감소하며 비만이 되면 증가하지만, 이외에는 생활습관 변화에 따른 영향은 없습니다.

  • 렙틴 결핍은 어떻게 치료합니까?

    매우 드문 유전적 렙틴 결핍이 있는 사람에서는 비만을 조절하는데 렙틴 보충치료가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외에 다른 렙틴 결핍에서 일반적인 보충 치료에 대한 데이터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 렙틴 이외에 다른 아디포카인(adipokine)이 있습니까?

    렙틴이 지방세포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사이토카인(또는 “아디포카인(adipokine)”)이지만, 다른 아디포카인도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두 가지는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resistin과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adiponectin입니다. 비만에서 resistin은 증가하며 adiponectin은 감소합니다. 이들은 염증에서도 반대의 영향을 미치는데, resistin은 염증을 증가시키는 반면 adiponectin은 감소시킵니다. 최근 연구된 다른 아디포카인은 visfatin이며, 제2형 당뇨병에서 증가하여 인슐린 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외에 다른 아디포카인으로는 aplin, chemerin, omentin이 있으며, 항염증 작용을 나타냅니다. 

원문보기

Hamdy, O. (Updated 2013 January 24). Obesity. Medscape Referenc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23702-overview#showall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February 2013.

(© 1995-2013). Leptin. Mayo Clinic Mayo Medical Laboratorie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test-catalog/Overview/91339 through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 Accessed February 2013.

Miehle, K. et. al. (2012). Leptin, Adiponectin and Other Adipokines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Pre-eclampsia. Medscape from Clin Endocrinol. 2012;76(1):2-11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755467 through http://www.medscape.com. Accessed February 2013.

Lawson, E. (2012). Leptin Levels are Associated With Decreased Depressive Symptoms in Women Across the Weight Spectrum, Independent of Body Fat. Medscape from Clin Endocrinol. 2012;76(4):520-525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760937 through http://www.medscape.com. Accessed February 2013.

Schwarz, S. and Windle, M. (Updated 2012 December 12). Obesity in Children. Medscape Referenc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985333-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February 2013.

Chawla, J. and Youngsook P. (Updated 2012 October 3). Endocrine System Anatomy. Medscape Referenc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948709-overview#showall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February 2013.

Ahima, R. (2008 July 1). Revisiting leptin's role in obesity and weight loss. J Clin Invest. V 118 (7):2380–2383.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jci.org/articles/view/36284 through http://www.jci.org. Accessed February 2013.

Koh, K. et. al. (2008). Contemporary Reviews in Cardiovascular Medicine, Lepti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esponse to Therapeutic Interventions [On-line information]. Circulation v 117: 3238-3249.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circ.ahajournals.org/content/117/25/3238.full through http://circ.ahajournals.org. Accessed February 2013.

Ahmet Ursavas, A. et. al. (2010 July – September). Ghrelin, leptin, adiponectin, and resistin levels in sleep apnea syndrome: Role of obesity. Ann Thorac Med. 2010 Jul-Sep; 5(3): 161–165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30655/ through http://www.ncbi.nlm.nih.gov. Accessed February 2013.

Scheer, F. (2009 March 17). Adverse metabolic and cardiovascular consequences of circadian misalignment. PNAS v 106 (11) 4453-4458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pnas.org/content/106/11/4453.long through http://www.pnas.org. Accessed February 2013.

Carlson, J. et. al. (2009 August 11). Pre- and post- prandial appetite hormone levels in normal weight and severely obese women. Nutrition & Metabolism v 6 (32)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utritionandmetabolism.com/content/6/1/32 through http://www.nutritionandmetabolism.com. Accessed February 2013.

Farooqi, S. and O'Rahilly, S. (2006 December 1). Genetics of Obesity in Humans. Endocrine Reviews v 27 (7) 710-718.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drv.endojournals.org/content/27/7/710.full through http://edrv.endojournals.org. Accessed February 2013.

Franks, P. et. al. (2007 May). Physical activity energy expenditure ma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leptin levels and worsening insulin resistance independently of adiposity.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c 102 (5) 1921-1926.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jap.physiology.org/content/102/5/1921.full through http://jap.physiology.org. Accessed February 2013.

Stella L. Volpe, S. et. al. (2008 April). Effect of Diet 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Energy Intake and Leptin Levels in Overweight Women and Men. J Am Coll Nutr v 27 (2) 195-208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jacn.org/content/27/2/195.full through http://www.jacn.org. Accessed February 2013.

Chiesa, C. et. al. (2008) Ghrelin, Leptin, IGF-1, IGFBP-3, and Insulin Concentrations at Birth: Is There a Relationship with Fetal Growth and Neonatal Anthropometry? Clinical Chemistry v 54 (3) 550–558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clinchem.org/content/54/3/550.full through http://www.clinchem.org. Accessed February 2013.

Henson, M. and Castracane, V. (2006 February 1). Leptin in Pregnancy: An Update. Biology of Reproduction v 74 (2) 218-229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biolreprod.org/content/74/2/218.full through http://www.biolreprod.org. Accessed February 2013.

S17 Choquet, H. and Meyre, D. (2011 May) Genetics of Obesity: What have we Learned? Curr Genomics v 12(3): 169–179.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137002/ through http://www.ncbi.nlm.nih.gov. Accessed February 2013.

Considine, R, et al. Serum Immunoreactive-Leptin Concentrations in Normal-Weight and Obese Humans. N Engl J Med 1996; 334:292-295. Available online at http://www.nejm.org/doi/full/10.1056/NEJM199602013340503#t=articleTop through http://www.nejm.org. Accessed February 2013.

Nirav R. Shah, Eric R. Braverman. Measuring Adiposity in Patients: The Utility of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and Leptin. PLoS One. Published April 2, 2012. Available online at http://www.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033308 through http://www.plosone.org. Accessed Februar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