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포타슘
K
K+
정식 명칭
칼륨 (Potassium)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07일.
요약
검사의 목적

칼륨 농도가 정상 범위에 들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그리고 전해질 불균형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만성 또는 급성 고칼륨혈증이나 저칼륨혈증을 감시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기본 혈액 검사의 일부로, 피로나 심혈관 부정맥 같은 증상이 있을 때, 또는 전해질 불균형이 의심될 때, 칼륨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혈압이나 신장질환 같은 질환 또는 상태이거나, 약물을 복용하고 있을 때 검사를 시행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칼륨은 나트륨, 염화물, 그리고 중탄산염(총 CO2)과 함께 체내 수분의 양을 조절하고, 근육 수축을 자극하며 안정적인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다른 전해질과 작용하는 양전하 전해질입니다. 칼륨은 전신의 체액 내에 모두 존재하지만, 대부분이 세포내에서 발견됩니다. 단 2%만이 세포외액과 혈액의 액체부분(혈청 또는 혈장)에 존재합니다. 칼륨의 혈액 내 농도는 매우 적기 때문에, 작은 변화가 심각한 결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만일 칼륨 수치가 너무 낮거나 높다면, 건강이 위험하다는 표시일 수 있습니다: 쇽, 호흡곤란, 또는 심장 리듬 장애의 위험이 있습니다. 비정상 농도는 신경근육 조직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로, 심근의 수축능력이 소실 될 수 있습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칼륨 검사는 일반 검사의 일종으로 다른 전해질과 함께 흔히 시행됩니다. 이는 지나치게 농도가 높은지(고칼륨혈증) 또는 지나치게 낮은지(저칼륨혈증) 확인하기 위하여 이용됩니다. 고칼륨혈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신질환이지만, 체내 칼륨 배출을 감소시키는 많은 종류의 약물들이 이러한 결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저칼륨혈증은 설사나 구토 또는 과도한 땀흘림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칼륨은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소실될 수 있고, 드물게는 충분한 식이섭취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농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칼륨 농도는 신장에서 칼륨을 배출하는 약물, 특히 이뇨제 같이 저칼륨혈증을 유발하는 약물 복용 시 주기적인 간격으로 실시되어야 합니다. 감시는 비정상적인 칼륨 농도와 연관될 수 있는 급성 또는 만성 신부전과 같은 상태나 질환 시 시행될 수 있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칼륨 수치 확인을 위한 혈청이나 혈장 검사는 심각한 질환을 위한 검사 시 대부분의 환자에서 일상 검사로 시행됩니다. 또한 칼륨은 심기능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모든 일상 검사 중 다른 전해질과 함께 검사합니다. 특히 이뇨제나 혈압약 또는 심장질환 약을 복용 시 시행합니다. 칼륨은 의사가 고혈압과 신질환을 진단하고 평가 시, 그리고 투석을 받는 환자, 이뇨제 치료, 또는 정맥내 요법 시 검사를 실시합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칼륨농도 증가는 고칼륨혈증을 나타냅니다. 증가된 수치는 다음의 건강 상태를 가리킵니다:

    • 급성 또는 만성 신부전
    • 애디슨병
    • 저 알도스테론증
    • 조직 손상
    • 감염
    • 당뇨
    • 탈수
    • 과도한 칼륨 섭취(예를 들어, 과일에 칼륨이 특히 많아서 과일이나 주스를 과도하게 섭취하면 높은 칼륨 수치를 나타낼 수 있다)
    • 과도한 정맥내 칼륨 투여

    어떤 약물은 일부 환자에서 고칼륨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애드빌, 모트린, 그리고 너프린); 베타 차단제(프로프라놀올과 아테놀올),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억제제 (캅토프릴, 에날라프릴, 그리고 리시노프릴), 그리고 칼륨 보존성 이뇨제(트리암테렌, 아밀로라이드 그리고 스피로놀락톤)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칼륨 농도 감소는 저칼륨혈증을 가리킵니다. 감소된 수치는 다음의 상황을 가리킵니다.

    • 탈수
    • 구토
    • 설사
    • 고 알도스테론증
    • (드물게) 칼륨 섭취 결핍
    • 아세트아미노펜 과다복용으로 인한 합병증

    당뇨병인 경우, 당뇨병이 잘 조절되지 않을 때 인슐린 복용 이후에 칼륨 농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낮은 칼륨 수치는 흔히 이뇨제로 인해 발생하므로 이뇨제 섭취 시 의사가 주기적으로 칼륨 수치를 확인합니다. 부가적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이소프로테레놀과 같은 베타교감신경 항진제, 클로니딘 같은 알파교감신경 차단제, 겐타마이신과 카베니실린, 그리고 항진균제제인 암포테리신 B 등의 약물은 칼륨을 소실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 칼륨 검사 결과는 참고치와 비교하여, 결과가 정상인지(범위 내), 높은지(범위의 상한치 이상) 또는 낮은지(범위의 하한치 미만) 결정됩니다. 참고치 결정에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 검사의 참고치는 검사가 진행되는 검사실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런 이유로, 검사결과는 참고치와 함께 보고되도록 요구됩니다. 일반적으로 주치의는 결과를 적절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검사실 및 환자의 병력에 충분히 익숙합니다.

    칼륨에 관한 표준적인 참고치는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검사실은 의학교과서에 포함되거나 또는 온라인에서 찾을 수 있는 것과 유사하지만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 참고치로 보고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검사결과에 대해서 의사와 상담하기를 권장합니다. 일반적인 지침이긴 하지만, 전통적인 의학교과서인 임상화학 및 분자진단학의 Tietz 교과서에서 가져온 참고치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참고치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참고치와 그 의미”를 참조하십시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의사들은 증가된 칼륨 수치가 환자의 임상적인 상태와 일치하지 않을 때 의문을 가집니다. 칼륨 농도는 검체 수집 또는 과정 중의 오류에 의해 가성으로 증가될 수 있습니다:

    • 혈액을 채취하는 동안에 주먹을 너무 꽉 쥐었다 핀 경우.
    • 검체를 시험관에 적절한 순서로 채취하지 않은 경우; 즉, 항응고제가 없는 튜브에 앞서서 칼륨을 포함한 항응고제가 있는 튜브에서 채취한 경우. 이럴 경우 칼륨에 항응고제가 없는 튜브의 오염이 일어난납니다.
    • 검체 처리가 지연되는 경우. 적혈구와 혈청 또는 혈장이 적절한 원심분리 시간 내에 분리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는 만일 외래에서 검사실로 검체가 이송된다면 오류가 감소될 수 있습니다.
    • 잘못된 원심분리법
    • 적혈구를 파괴(용혈)되어 검체내 칼륨이 빠져나오도록 하는 행위. 넓은 직경의 바늘을 이용하거나(채집 튜브에 혈액이 투입될 때 지나치게 강한 압력이 걸릴 수 있다), 너무 격렬하게 튜브를 흔들거나, 작은 바늘로 혈액을 채취하는 경우, 플런저를 통해 과도하게 흡인하는 주사기를 사용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 울거나 과호흡 시 혈장내 칼륨 수치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만일 혈액 채취에 어떠한 의문이 있다면, 주치의는 결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반복하여 검사할 것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칼륨이 풍부한 음식은 무엇이 있나요?

    나트륨 수치를 낮추고 수분저류를 방지하는 일부 심장질환 약물에 의해 소변으로 배출이 증가된 결과로 낮은 칼륨 수치를 보일 수 있습니다. 칼륨 소실을 만회하기 위해, 때론 의사들이 칼륨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섭취하도록 권유합니다. 과일과 야채 (바나나, 오렌지색 메론, 포도, 오렌지, 토마토, 허니듀 메론, 감자)와 육류가 칼륨의 좋은 공급원입니다.

  • 처방전 없이 칼륨 수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가 있나요?

    없습니다. 전해질 검사는 숙련된 검사자들이 매우 민감한 기구들을 이용해서 실시해야 합니다.

원문보기

S1
Hayes, Denise D. When Potassium Takes Dangerous Detours. Nursing 2007 Nov. 56hn1 56hn4.

S2
Bauer, Daniel M.; Ernst, Dennis; Willeford, Susan; Gambino, Raymond. Investigating Elevated Potassium Values. MLO Nov.2006, p.24-26.

S3
Clarke, W. and Dufour, D. R., Editors (2006). Contemporary Practice in Clinical Chemistry, AACC Press, Washington, DC. Pp 336-337.

S4
American Heart Association. Potassium. Available online at http://www.americanheart.org. Accessed February 2008.

S5
Pikilidou MI, et al. Blood pressure and serum potassium levels in hypertensive patients receiving or not receiving antihypertensive treatment. Clin Exp Hypertens. 2007 Nov;29(8):563-73. Abstract available online at http://www.ncbi.nlm.nih.gov/pubmed. Accessed February 2008.

S6
Waring WS, Stephen AF, Malkowska AM, Robinson OD. Acute Acetaminophen Overdose Is Associated with Dose-Dependent Hypokalaemia: A Prospective Study of 331 Patients. Basic Clin Pharmacol Toxicol. 2007 Nov 28. Abstract available online at http://www.ncbi.nlm.nih.gov/pubmed. Accessed February 2008.

S7
Pagana K, Pagana T. Mosby's Manual of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s. 3rd Edition, St. Louis: Mosby Elsevier; 2006.

S8
Thomas, Clayton L., Editor (1997).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Company, Philadelphia, PA [18th Edition].

S9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2001).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5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S10
(1995-2004). Minerals and Electrolytes. The Merck Manual of Medical Information Second Home Edi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

S11
Ben-Joseph, E., Reviewed (2004 July). Dehydration. Familydoctor.org Information for Parent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kidshealth.org.

S12
A.D.A.M. editorial, Updated (2003 October 15). Electrolyte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2350.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