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간접항글로불린검사
간접쿰스검사, 항체선별검사
Indirect antiglobulin test
IAT
Indirect Coombs' test
정식 명칭
적혈구항체 선별검사(RBC Antibody Screening Test)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21일.
요약
검사의 목적

수혈 혹은 임신 중 및 출산시에 적혈구 항원에 대한 항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수혈전; 임신중 또는 출산시, 특히 산모가 Rh음성일 경우에 시행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적혈구항체 선별검사는 혈액내에 순환하는 적혈구에 대한 항체를 검사합니다. 적혈구 항체가 생기는 주 이유는 수혈이나 임신등으로 자신의 적혈구가 아닌 다른 사람의 적혈구(외부 적혈구)에 노출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정상적으로 적혈구 표면에는 항원이라는 구조가 있습니다. 각 개인마다 부모님들로부터 유전된 특정 적혈구 항원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 적혈구의 두가지 주요 항원 또는 표면표지자들은 A와 B항원들이고 혈액형은 이 항원들의 존재 유/무에 따라 결정됩니다. 또 다른 표면항원은 D항원이라고 불리우는 Rh항원입니다. 만약 이 항원이 당신의 적혈구에 존재하면 당신의 혈액형은 Rh+(양성)이고, 없는 경우에 당신의 혈액형은 Rh-(음성)이 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혈액형검사 참조)

추가적으로, 그 외에도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Kell, Lewis, Kidd 혈액형 군들의 항원들도 적혈구에 존재합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특정 적혈구 항원에 대한 항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수혈후

A와 B 항원에 대한 항체는 자연발생적이므로 항원에 노출되지 않고도 체내에서 항체를 생산합니다. 심각한 수혈 부작용을 예방하기위해 수혈전 환자의 ABO 및 Rh혈액형은 헌혈혈액과 맞추어지고 이로서 환자의 항체들이 헌혈자 적혈구와 반응하지 않게 되어 파괴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수혈 후에 환자의 몸은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다른 혈액형 항원들(Kell형, Kidd형 등)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이런 외부 항원에 대해 항체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다발성 수혈을 받는 사람들은 더 많은 외부 적혈구 항원에 대해 노출되어 있어 항체를 만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산모와 아기 혈액형의 불일치

아기는 산모에게는 없는 아빠의 항원을 물려받을 수 있습니다. 산모는 임신중 혹은 태반이 분리될때 아기의 세포가 일부분 산모의 혈액으로 들어간 경우에 아기의 적혈구에 있는 외부 항원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산모는 이런 외부 적혈구 항원에 대해 항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신생아 용혈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개 첫 아이에는 영향이 없으나 그 후의 아이들에겐 산모의 항체들이 태반을 건너가 아이의 적혈구에 부착되어 용혈시킵니다. 간접항글로불린검사를 통해 산모가 적혈구 항체를 생성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혈이나 임신등으로 외부 적혈구 항원에 처음으로 노출된 경우 몸에서 항체를 만들기 시작할 수 있으나 첫 노출기간 동안 외부 적혈구를 파괴할 만큼의 충분한 항체를 생성하지 못합니다. 다음 수혈이나 임신이 있을 경우 충분히 강한 면역반응에 의해 항체가 만들어져 수혈된 적혈구나 아기의 적혈구에 부착되고 용혈이 될 수 있습니다.

간접항글로불린검사는 혈액내 적혈구 항체 (ABO 혈액형 항체 제외)를 선별적으로 검사합니다. 이 검사를 통해 발견된 적혈구 항체들은 항체 확인검사를 거쳐 밝혀지게 됩니다. (더 많은 정보를 위해 혈액은행 업무를 참조)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적혈구항체 선별검사는 혈액내의 A와 B 항원을 제외한 다른 적혈구 항원에 대한 항체들을 선별하는데 사용됩니다. 수혈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혈액형 및 선별검사의 일부로 시행됩니다. 만약 항체가 검출되었다면 항체확인검사를 시행하여 어떤 항체가 존재하는지 밝혀야 합니다. 교차시험과정에서 변형된 간접항글로불린검사를 시행합니다. 헌혈자의 적혈구과 환자의 혈장을 혼합하여 처리한후 시험관 안에 적혈구의 뭉침(응집)이 보이는지를 통해 수혈후 환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적합성을 확인합니다. 수혈시 환자의 적혈구 항체가 반드시 고려되야하며 헌혈혈액에는 환자가 가지고 있는 항체에 대한 항원이 없어야 할 것입니다.

    만약 수혈에 대한 즉각적이거나 지연된 반응을 보일경우 의사는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간접항글로불린검사와 직접항글로불린검사를 처방할 것입니다. (직접항글로불린검사는 적혈구에 부착된 항체를 검사합니다.) 급성 반응기가 지난 후에 환자에서 새로운 항체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적혈구항체 선별검사는 임신중에 태반을 건너 아기의 적혈구를 공격하여 신생아 용혈성 질환을 일으킬수 있는 항체를 선별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매우 심각한 원인으로 Rh혈액형중에 “D항원”이라고 불리는 적혈구항원에 대해 반응하는 항체가 있습니다. 이 항원이 적혈구에 존재하면 그 사람의 혈액형은 Rh+(양성)이지만 아닌 경우 혈액형은 Rh-(음성)이 됩니다. Rh음성인 산모가 Rh양성인 태아의 혈액세포에 노출되면 산모는 항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예방하기 위해 Rh음성 산모는 임신 28주와 출산시 간접항글로불린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임신 28주에 Rh항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산모에게 Rh면역글로불린(RhIg)주사를 투여하여 산모 혈액에 존재할 수 있는 아기의 Rh양성 혈액을 제거함으로서 산모가 Rh항체를 생성하는 것을 예방합니다.

    출산 시 아기의 Rh혈액형을 검사합니다. 만약 아기가 Rh음성일 경우 산모는 추가적인 RhIg 주사가 필요 없습니다; 만약 아기가 Rh양성일 경우 산모에게 간접항글로불린검사를 더 시행하고 만약 이 검사에서 음성이라면 추가적인 RhIg를 산모에게 투여합니다.

    이 검사는 자가면역관련 용혈성 빈혈의 진단을 위해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인체에서 자신의 적혈구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게 되는데. 이런 질환들에는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의 자가면역질환, 림프종 및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등의 악성질환, 그리고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과 단핵구증 등의 감염성 질환 등입니다. 페니실린과 같은 특정 약제를 사용하였을 때도 일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적혈구항체 선별검사는 수혈이 예상되는 경우와 수혈 후에 추적검사용으로 시행됩니다.

    수혈 부작용의 증상과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열, 오한
    • 발적
    • 요통
    • 혈뇨
    • 기절할 듯한 느낌이나 어지럼증

    적혈구항체 선별검사는 여성의 임신검사에 포함되어 시행됩니다. Rh음성산모의 경우 임신28주에 RhIg 주사를 투여하기 전과 출산 후 아기가 Rh양성이라고 확인된 후에 시행합니다. Rh항체를 가진것으로 알려진 Rh음성 여성의 경우 대략 항체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 감시하기 위해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결과가 양성일 경우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적혈구 항체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항체는 다른 항체들보다 더 중요할 수가 있습니다. 수혈 전 선별검사로 시행되어 양성결과를 보인경우 항체확인검사를 시행하여 존재하는 항체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항체가 확인되면 수혈 시 그 항체가 헌혈자 적혈구 항원과 반응하여 파괴시키지 않게하기 위해 해당 항체에 대한 항원이 포함되지 않은 헌혈혈액을 찾아야 합니다.

    Rh음성 산모가 적혈구항체 선별검사에서 음성결과를 보였다면 항체 생성을 예방하기 위해 RhIg 주사를 주는 것이 짧은 시간(72식간) 동안에 안전합니다. 만약 양성결과를 보였다면 존재하는 모든 항체들을 확인해야 합니다. Rh항체가 존재한다면 RhIg주사는 효과가 없습니다. 만약 다른 항체라면 RhIg주사를 통해 Rh항체 생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순환하는 적혈구 항체는 한번 생기면 없어지지 않습니다. 항원의 노출후 수년이 지나면 순환하는 항체의 양은 검출되지 않을 정도의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다시 항원에 노출되면 항체생산이 바로 시작되어 적혈구를 공격합니다.

    수혈을 받을 때마다 환자는 헌혈자의 적혈구 항원의 조합에 노출되게 됩니다. 환자의 적혈구에는 없는 외부 항원을 가진 적혈구가 수혈되면 잠재적으로 항체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특정 기간동안 많은 수혈을 받았다면 여러 많은 항원에 대한 항체를 생산했을 수 있습니다. 이로인해 적합한 혈액을 찾는 작업이 매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 Rh면역글로불린(RhIg)주사가 개발되기 전에는 산모와 태아의 Rh 혈액형이 불일치한 경우(산모 Rh-, 태아 Rh+), 어떠한 증상이 나타났었나요?

    RhIg가 개발되기 전에는 Rh음성 산모들이 첫 Rh양성 아기들의 혈액에 주로 감작되어 항Rh항체를 만들었습니다. 둘째 Rh양성 아기들부터는 산모의 항Rh항체가 아기의 적혈구를 공격하여, 어느 정도의 Rh 용혈성 질환을 겪게 되었습니다. 유산되거나 사산되는 아기들이 비교적 흔했으며 태어났더라도 즉각적인 수혈을 받아야 생존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습니다. 주사의 발견으로 이런 합병증들은 크게 예방되었으나 아직도 소수의 여성에서 Rh 항체가 생성되는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 왜 Rh음성여성의 남편에 대해서 혈액형검사가 필요하죠?

    만약 남편의 혈액형이 Rh음성인 경우 아기들이 Rh음성이기 때문에 Rh혈액형 부적합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Rh음성인 부부 사이에서도 드물지만, Rh양성인 태아나 태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아빠가 양성일 경우 각 아기가 Rh양성일 수 있고 이런 경우 Rh음성의 산모와 혈액형이 불일치하게 됩니다.

  • 저는 혈액형이 O형이고 ABO혈액형에의한 신생아 용혈성 부작용을 보일 아기를 임신할 수 있습니다. 임신시 저도 간접항글로불린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산모와 아기의 ABO 혈액형 불일치가 있을 경우, 특히 산모가 O형일 경우에 신생아 용혈성 질환이 생길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몸은 자연적으로 자신의 적혈구에 가지고 있지 않은 A와 B형 항원에 대해 항체를 만들기 때문에 이런 경우엔 적혈구항체 선별검사는 유용하지 않습니다. A형 산모는 자연적으로 B형 적혈구 표면항원에 대한 항체를 만들고, B형 산모는 자연적으로 A형 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신생아에서의 ABO 혈액형 용혈성 빈혈에서는 산모의 혈액에 이미 어떤 항체가 있는것을 알기 때문에 간접항글로불린검사를 선별목적으로는 시행하지 않습니다.

  • 헌혈로 인해 항체가 생길 수 있습니까?

    절대 아닙니다. 헌혈로 인해 다른 사람의 혈액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 만약 제가 제 자신의 혈액을 수술 전에 채혈하여 보관하였다가 다시 수혈 받는다면(자가수혈), 항체에 대해 걱정하여야 합니까?

    아닙니다. 외부 적혈구 항원에 노출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적혈구 항체를 생산하지 않습니다.

  • 담당의사에게 이전에 별 부작용 없이 받았던 수혈에 대해서 얘기해야 하나요?

    네. 당신이 수혈로 인해 한개 이상의 항원에 감작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의사에게 수혈정보는 제공하여야 합니다. 이것으로 당신의 건강에 영향이 미치지는 않으나 추가적인 수혈이나 임신시 의사들이 더 세심하게 안전을 고려하게 될 것입니다.

원문보기

현재 참고 페이지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 2007).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8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pp 307-308.

Wu, A. (2006).  Tietz Clinical Guide to Laboratory Tests, Fourth Edition. Saunders Elsevier, St. Louis, Missouri. Pp 126-129.

Cutler, C. (2006 September 11, Updated). Coombs’ test.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344.htm. Accessed on 10/01/08.

Sandler, S.G. and Johnson, V. (2008 September 25, Updated). Transfusion Reactions.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emedicine.com/med/TOPIC2297.HTM through http://www.emedicine.com. Accessed on 10/01/08.

Levin, M. (2007 March 13, Updated). Transfusion Reaction.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1303.htm. Accessed on 10/04/08.

(© 2008) 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 Lucille Packard Children’s Hospital at Stanford. Available online at http://www.lpch.org/DiseaseHealthInfo/HealthLibrary/hrnewborn/hdn.html through http://www.lpch.org. Accessed October 2008.

이전 참고 페이지

Thomas, Clayton L., Editor (1997).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Company, Philadelphia, PA [18th Edition].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2001).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5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gs 286-289.

Dhaliwal, G. et. al. (2004 June 1). Hemolytic Anemia. American Family Physician [On-line journal]. Available online at http://www.aafp.org/afp/20040601/2599.html through http://www.aafp.org.

Triulzi, D. (2000 October). Indirect and Direct Antiglobulin (Coombs) Testing and the Crossmatch. Transfusion Medicine Updat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itxm.org/TMU2000/tmu10-2000.htm through http://www.itxm.org

Grund, S., Updated (2004 August 16, Updated). Coombs’ test – direct.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344.htm.

Grund, S., Updated (2004 August 16, Updated). Coombs’ test – indirect.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343.htm.

(2001 March).Rh Disease. March of Dimes Fact Sheet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archofdimes.com/professionals/681_1220.asp through http://www.marchofdimes.com/.

(1995-2005). Autoimmune Hemolytic Anemia. The Merck Manual of Diagnosis and Therapy. Anemias Caused By Excessive Hemolysi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rkshared/mmanual/section11/chapter127/127d.jsp through http://www.merck.com.

Suzanne H. Butch, MA, CLDir. Chief Technologist. Blood Bank and Transfusion Service. University of Michigan Hospitals and Health Centers, Ann Arbor, Michigan.

Julie Brownie MBA, CLS(NCA), SBB(ASCP). Coral Blood Services. Bangor, Ma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