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A1c
추산평균포도당
HbA1c
정식 명칭
당화혈색소(Hemoglobin A1c)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12일.
요약
검사의 목적

1) 임상적 의의

- 당뇨 및 당뇨병전기를 선별하고 진단하기 위하여

- 환자의 당뇨를 모니터하고 치료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주기 위함

2) 참고치: ≤ 5.6% 

3) 해석

- ≤ 5.6%: 참고치 이내

- 5.7-6.4%: 당뇨 전단계

- ≥6.5%: 당뇨

 

검사가 필요한 경우

최초로 당뇨로 진단받았을 때 그리고 일년에 2-4회 검사; 건강검진의 일부로서 또는 당뇨의 증상이 있을 경우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또는 손가락 끝에서 채취한 모세혈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 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당화혈색소 검사는 지난 2-3 개월 동안의 혈중 포도당의 평균치를 평가하며 당화된 A1c형 혈색소의 농도를 측정해서 검사합니다. 혈색소는 적혈구 내부에서 관찰되는 산소운반 단백질입니다. 몇 가지 정상 및 변이형 혈색소가 알려져 있지만 95-98%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형태는 A형 혈색소입니다. A형 혈색소는 몇 가지로 더 세분할 수 있고 이중에 A1c 혈색소가 있습니다. 포도당이 혈중을 순환하면 이 중 일부는 자연적으로 A형 혈색소에 결합합니다. 포도당과 혈색소가 결합한 분자를 당화되었다고 합니다.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당화 혈색소가 생성됩니다. 일단 포도당이 혈색소에 결합하면 정상적으로 120일인 적혈구의 수명을 다할 때까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합니다. 포도당과 A형 혈색소가 결합한 조합을 HbA1c 혹은 A1c라고 합니다. A1c는 매일 생산되며 수명을 다한 적혈구가 사멸하고 젊은(당화되지 않은 혈색소를 가진) 적혈구가 이를 대신함에 따라 천천히 제거됩니다.

이 검사는 당뇨로 진단받은 사람에서 당뇨 치료효과를 모니터하기 위해 이용됩니다. 이 검사는 치료에 의해 환자의 포도당 농도가 일정 시간 동안 얼마나 잘 조절되었는지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어떤 사람에서는 이 검사를 당뇨와 당뇨병전기를 선별하고 진단하는 목적으로 이용하기도 합니다. 2010년에 발간된 미국 당뇨병 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의 새로운 임상진료지침에 따르면 당화혈색소검사를 당뇨 선별 및 진단 검사 종목 중 하나로 공복혈당검사 및 경구당부하검사에 추가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공동 선언문과 혈당농도와 당화혈색소의 연관성을 심도 있게 연구한 ADAG(당화혈색소 유래 평균 포도당) 연구의 최근 완료 이후 당화혈색소가 세계적으로 세가지 방식으로 보고되도록 하는 권고안이 제시되었습니다:

  • 백분율[미국당화헤모글린 표준화 프로그램(NGSP)에서 제안한 단위]
  • IFCC 단위(mmol/mol)
  • 연구 결과 유도된 식에 근거한 추산평균포도당(eAG) (단위는 mg/dL 또는 mmol/L)

즉 당뇨병 환자와 의사의 입장에서 볼 때 이 지침은 한 사람의 당화혈색소 농도를 익숙한 백분율과 추산평균포도당의 두 가지 방식으로 표기하게 됨을 의미하며 추산평균포도당은 가정용 포도당 모니터와 검사실의 결과와 같은 단위(mg/dL)의 수치로 보고함을 의미합니다.

이 검사는 또한 당뇨병 진단을 받은 사람의 치료를 모니터링 하는데에도 사용됩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치료에 의해 포도당 수치가 얼마나 잘 조절되었는지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모니터링 목적으로, 7 % 미만의 A1c는 당뇨병 환자의 대다수에 대해 혈당 조절이 양호하다는 것과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성이 낮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ADA와 유럽 당뇨병 학회(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EASD)는 제 2 형 당뇨병에서 혈당 조절 관리를 보다 "환자 중심적"으로 하라고 권고합니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혈당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심각한 저혈당, 긴 질환 지속 기간, 좋지 않은 기저 건강 상태, 혈관 합병증, 제한된 기대수명 등의 위험을 가진 사람들은 반드시 엄격한 목표, 즉 7 % 미만의 A1c를 유지하는 것이 이점이 없다고 지적합니다. 사람들은 각 개인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고 위험과 이익의 균형을 맞추는 목표를 선택하기 위해 주치의와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하거나 손가락 끝을 작고 뾰족한 침으로 찔러 피 한방울을 떨어트려 모세혈 검체를 얻습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당화 혈색소와 추산평균포도당 계산치는 일정 기간 동안의 당뇨 조절을 모니터하기 위해 이용됩니다. 당뇨병 환자에서의 목표는 혈당치를 정상에 가급적 가깝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혈당 조절은 만성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포도당 수치에 의해 유발되는, 신장, 눈, 심혈관계, 신경 등의 신체 기관에 발생하는 점진적인 손상과 같은 합병증을 최소화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당화 혈색소와 추산평균포도당 결과는 최근 몇 달 동안의 혈중에 존재했던 평균 포도당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결과는 당신과 당신의 의사가 당뇨 조절을 위해 해온 조치가 성공적이었는지 혹은 조정이 필요한지를 아는데 도움을 줍니다.

    당화 혈색소는 종종 새로 당뇨로 진단받은 사람이 조절되지 않는 혈당이 얼마나 증가되어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검사는 조절을 시도하는 동안 수차례 측정 의뢰되고 그 후로는 양호한 조절상태가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년에 수차례 측정합니다.

    당화 혈색소 검사는 당뇨병을 선별하고 진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임산부, 최근에 심한 출혈이 있었거나 수혈을 받은 사람, 만성 신질환이나 간질환 환자, 혹은 철결핍성빈혈, 비타민 B12 빈혈, 혈색소 변이형 등 혈액 질환을 가진 사람에서는 진단 목적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됩니다. 또한 공인된 표준화된 검사실에서 측정한 당화 혈색소 검사만이 진단이나 선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경우, 공복혈장포도당농도나 경구당부하검사를 선별이나 진단을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의사 진료실이나 환자 곁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현장검사는 진단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변화 폭이 크지만 생활습관과 약물을 포함하는 치료 경과를 모니터하는 목적으로는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당뇨병의 종류, 당뇨의 조절되는 정도, 그리고 의사에 따라 당화혈색소는 일년에 2-4회 검사할 수 있습니다. 미국당뇨병학회는 적어도 1년에 2회 의상 측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처음 당뇨로 진단받은 경우나 조절이 잘 되지 않을 경우 당화혈색소는 더 자주 의뢰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선별을 목적으로 하는 당화혈색소는 건강검진의 일부로 의뢰되거나 다음과 같은 고혈당의 징후나 증상을 보여서 당뇨로 의심될 경우에 의뢰될 수 있습니다: 

    • 갈증 증가
    • 소변 증가
    • 피로감
    • 시야 흐림
    • 감염 치유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혈당 조절을 위한 지표로서 당화혈색소는 현재 백분율로 보고되고 있으며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가 7% 미만으로 유지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당화혈색소 검사 보고서에는 당신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기준으로 계산된 추산평균포도당(eAG)가 함께 보고될 수도 있습니다. 추산평균포도당을 보고하는 목적은 당화혈색소 결과를 매일 모니터링하는 포도당 농도와 연관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입니다. 추산평균포도당 계산식은 가정용 모니터링 시스템이나 검사실에서 측정한 포도당 농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백분율 단위의 당화혈색소 수치를 mg/dL 또는 mmol/L로 변환시킵니다.

    추산평균포도당(eAG)은 최근 몇 달 동안의 혈당치에 대한 평가하는 점을 주지해야 합니다. 이 수치는 매일 수 차례 측정하는 혈당 농도와는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미국당뇨병학회는 이 계산식을 채택하여 학회 홈페이지에 추산평균포도당 계산기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뇨환자가 심한 저혈당을 경험하지 않으면서 당화혈색소 수치를 6% 수준에 가깝게 유지할수록 당뇨는 잘 조절되고 있는 것입니다. 당화혈색소와 추산평균포도당이 증가할수록 합병증의 위험은 증가합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당화혈색소 수치가 5.6% 이하: 정상
    • 당화혈색소 수치가 6.5% 이상: 당뇨
    • 당화혈색소 수치가 5.7% - 6.4% : 당뇨병전기(미래에 당뇨병이 발생한 위험도가 높은 상태)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당화혈색소 검사는 현재의 급격한 혈당의 증가나 감소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불안정형당뇨병 환자에서 관찰되는 포도당 농도의 폭이 큰 변동은 당화혈색소 검사 수치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만약 당신이 겸상적혈구 혈색소(hemoglobin S)와 같은 혈색소 변이형을 가지고 있다면, 혈색소 A의 양은 감소하게 됩니다. 이 경우 당뇨 진단과 모니터링에 있어서의 당화혈색소 검사의 유용성은 제한적입니다. 빈혈, 용혈, 혹은 과다 출혈이 있는 경우 당화혈색소 검사 결과는 낮아지게 됩니다. 철 결핍 상태인 경우, 당화혈색소 수치는 증가하게 됩니다. 만약 최근에 수혈을 받았다면 혈액 보관용액의 높은 포도당 수치로 인해 당화혈색소는 증가하게 되고 2-3개월의 혈당 조절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힘들게 됩니다.

  • 추산평균포도당은 어떻게 계산되는 것입니까?

    당화혈색소 결과에서 추산평균포도당을 계산하기 위해 이용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28.7 X A1c – 46.7 = eAG

     

    당화혈색소가 6%일 때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28.7 X 6 – 46.7 = 126 mg/dL

    추산평균포도당은 126 mg/dL입니다.

    이 식은 당화혈색소가 1% 증가함에 따라, 평균 혈당은 약 29 mg/dl이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 가정용 당화혈색소 검사 장비가 시판되어 있습니까?

    예 그렇습니다. 당뇨로 이미 진단 받은 경우, 가정용 검사를 이용해 일정 기간 동안의 당 조절을 모니터 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정용 검사는 질병의 선별검사나 진단을 위해서는 추천되지 않습니다.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FDA 승인을 받은 검사법이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가정용 검사라는 기사를 보시거나 의사에게 문의하십시오.

  • 모든 당화혈색소 검사는 같은 것입니까?

    아직은 아닙니다, 하지만 당화혈색소 검사 표준화에 있어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십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여러 국가 및 국제 기구가 미국 당화 혈색소 표준화 프로그램(NGSP) 또는 국제 임상화학 및 검사의학 연맹(IFCC)에 소속되어 협력해왔습니다. 최근에 미국당뇨병학회, 국제 임상화학 및 검사의학 연맹, 유럽당뇨병학회, 드리고 국제 당뇨병 연합에서 발간한 합의 문서에는 새로운 보고 방식 및 IFCC에 의해 개발된 새로운 참고 시스템이 유일하게 유효한 측정 표준화의 지침이 될 것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당화혈색소 검사가 당화혈색소 A의 다른 부분을 측정하는 상이한 검사법을 사용했습니다. 이로 인해 당화혈색소 검사결과는 검사법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IFCC 방법은 당화혈색소 A1c 만을 측정합니다.

     

    IFCC 방법의 사용 여부를 당화혈색소 A1c 검사를 받는 사람은 알 수 없습니다. 미국 당화 혈색소 표준화 프로그램(NGSP)은 제조사들이 IFCC 시스템과 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할 수 있도록 인증을 하는 단계입니다. 실질적으로 이 과정이 향후 몇 년간 적용되면 모든 검사실에서 측정한 당화혈색소 A1c 검사 결과가 같거나 매우 유사하게 됩니다. 

원문보기

현재 참고 페이지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 2007).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8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p 503-505.

Little, R., Nathan, D. and Sacks, D. (2008 December 9). Hemoglobin A1c: New Uses for Today and Possibilities for Tomorrow. AACC [Audioconference].

Holt, E. (2008 June 17, Updated). HbA1c.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640.htm. Accessed on 12/13/0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1C test.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diabetes.org/type-1-diabetes/a1c-test.jsp through http://www.diabetes.org. Accessed on 12/13/08.

(2008). But What Does My A1C Level Really Mean?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diabetes.org//diabetes-research/summaries/nathan-what-a1c-level-means.jsp through http://www.diabetes.org. Accessed on 12/13/08.

Nathan, D. et. al. (2008 June 7). Translating the A1C Assay Into Estimated Average Glucose Values. Diabetes Care 31:1473-1478, 2008 DOI: 10.2337/dc08-0545 [On-line journal]. Available online at http://care.diabetesjournals.org/cgi/content/abstract/31/8/1473 through http://care.diabetesjournals.org. Accessed on 12/14/08.

Crandall, J. (2007 May, Revision). Diabetes Mellitus. Merck Manua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mpe/sec12/ch158/ch158b.html?qt=diabetes&alt=sh#sec12-ch158-ch158b-1159 through http://www.merck.com. Accessed on 12/14/08.

Consensus Committee (2007 September). Consensus Statement on the Worldwide Standardization of the Hemoglobin A1c Measurement. Diabetes Care v30 (9). [On-line journal]. PDF available for download at http://www.ifcc.org/4dc9925consensus.pdf through http://www.ifcc.org.

Kahn, R. and Fonseca, V. (2008 August). Translating the A1c Assay. DiabetesCare v 31(8) [On-line information]. PDF available for download at http://professional.diabetes.org/Content/Editorial.pdf through http://professional.diabetes.org. Accessed on 12/14/08.

(2007 November). Sickle Cell Trait and Other Hemoglobinopathies and Diabetes: Important Information for Physicians. National Diabetes Information Clearinghous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diabetes.niddk.nih.gov/dm/pubs/hemovari-A1C/index.htm through http://diabetes.niddk.nih.gov. Accessed on 12/14/08.

S11 (2008). Q&A Estimated Average Glucose: an alternative to A1C.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professional.diabetes.org/GlucoseCalculator.aspx through http://professional.diabetes.org. Accessed on 12/21/08.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Executive summary: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0. Jan 2010. Diabetes Care 33: S4-S10.

(January 2010) The Endocrine Society Statement on the use of A1c for Diabetes Diagnosis and Risk Estimation. PDF available for download at http://www.endo-society.org/advocacy/upload/TES-Statement-on-A1C-Use.pdf through http://www.endo-society.org. Accessed January 2010.

이전 참고 페이지

Thomas, Clayton L., Editor (1997).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Company, Philadelphia, PA [18th Edition].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2001).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5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2002 May 01, Updated). Other Diabetes Management Tests, Glycosylated Hemoglobin. Diabetes Information,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fda.gov/diabetes/glucose.html#18 through http://www.fda.gov.

(1995-2004). Diabetes Mellitus. The Merck Manual of Medical Information-Second Home Edi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mhe/sec13/ch165/ch165a.html?qt=Diabetes&alt=sh through http://www.merck.com.

Mbanya, J. et. al. Working Group Members (2004 January 20). Report of the ADA/EASD/IDF Working Group of the HbA1c Assay. EASD All News [On-line Report]. Available online at http://www.easd.org/. (Click "All News" and "2004/05").

A.D.A.M., Updated (2003 October 10, Updated). HbA1c.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640.htm.

(2004 June). 2004 NGSP Clinical Advisory Committee Meeting.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64th Annual Scientific Sessions, June 2004. NGSP, What’s New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issouri.edu/~diabetes/ngsp/indexwn.html through http://www.missouri.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