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섬세포 자가항체(Islet Cell Cytoplasmic Autoantibodies, ICA)
당뇨 자가항체(Insulin Autoantibodies, IAA)
글루탐산 디카복실라제 자가항체(Glutamic Acid Decarboxylase Autoantibodies, GADA)
인슐린종-관련-2 자가항체(Insulinoma-Associated-2 Autoantibodies, IA-2A)
정식 명칭
당뇨연관 자가항체 (Diabetes-related Autoantibodies)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12일.
요약
검사의 목적

당뇨병이 진단된 후 자가면역성인 제1형과 제2형 당뇨를 구분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처음으로 당뇨병으로 진단되었을 때 자가면역 관련 당뇨인지 결정하기 위해서, 식이나 약물로 치료 중인 당뇨환자에서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 제1형 당뇨가 의심되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제1형 당뇨는 인슐린 결핍이 특징으로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자가면역 과정입니다. 당뇨 연관 자가항체 검사는 제1형 당뇨와 연관이 있다고 여겨지는 하나 이상의 자가항체를 검출하는 일련의 검사법입니다. 이 자가항체들은 제1형 당뇨의 특징인 베타세포의 파괴와 기능 손상, 인슐린의 생산 부족을 반영하며 제1형 당뇨의 원인은 아닙니다. 반면 제2형 당뇨는 주로 인슐린의 효과에 대한 저항성(인슐린 저항성)의 결과로 자가면역 과정을 거치지 않습니다.

전체 당뇨의 약 5%는 제1형 (자가면역) 이며 대다수는 20세 이전에 진단됩니다. 다뇨, 갈증, 체중감소, 상처 치유의 지연과 같은 당뇨의 증상은 80~90%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더 이상 인슐린을 생산할 수 없을 때 나타납니다. 인체는 매일 인슐린을 필요로 하는데 포도당이 세포로 들어가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데 필요합니다. 충분한 인슐린이 없으면 세포는 영양 결핍 상태에 빠지고 혈당이 높아지게 됩니다(고혈당증). 급성 고혈당증은 당뇨와 관련된 내과적 응급상황을 초래하고 만성 고혈당증은 혈관과 신장 등의 기관을 손상시킵니다.

제1형 당뇨는 예전에는 소아당뇨 또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로 알려졌으나 베타세포 파괴를 반영한 용어로 다시 정의되었습니다. 자가면역성 제1형 당뇨가 있는 환자의 약 95%에서 진단 초기부터 하나 이상의 자가항체가 존재합니다. 전형적인 제2형 당뇨에서는 자가항체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가장 흔한 네 가지 당뇨 연관 자가항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섬세포세포질자가항체(Islet Cell Cytoplasmic Autoantibody, ICA)
  • Glutamic Acid Decarboxylase 자가항체(GADA)
  • Insulinoma-Associated-2 자가항체(IA-2A)
  • 인슐린 자가항체(Insulin Autoantiboidies, IAA)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당뇨 연관 자가항체 검사는 주로 자가면역성 제1형 당뇨와 다른 원인에 의한 당뇨를 구분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제1형 당뇨는 췌장 베타세포를 파괴하는 자가면역에 의한 인슐린 결핍이 특징적입니다. 제2형 당뇨는 주로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이 있습니다. 

    어떤 종류의 당뇨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질병으로 인한 합병증을 피하면서 가장 적절한 치료를 조기에 제공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제1형 당뇨에서는 혈당을 자가 측정해야 하며 혈당조절을 위해 인슐린을 스스로 주사해야 합니다. 제2형 당뇨 역시 매일 한번 이상 혈당을 자가 측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제2형 당뇨는 혈당조절 방법이 다양합니다. 식이조절과 운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경구약을 복용할 수도 있으며 인슐린 주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 표에 제1형 당뇨와 다른 원인에 의한 당뇨를 구분하기 위한 네 가지 자가항체 검사법을 요약하였습니다.

    검사명

    약자

    설명

    비고

    Islet Cell Cytoplasmic Autoantibodies

    ICA

    다양한 췌장 섬세포 단백에 대한 자가항체를 측정(베타세포는 섬세포의 한 종류임) 

    발병 시 검출되는 가장 흔한 자가항체 중 하나. 새로 진단되는 제1형 당뇨의 70~80%에서 검출됨.

    Glutamic Acid Decarboxylase Autoantibodies

    GADA

    베타세포 단백(항원)에 대한자가항체로 베타세포에 특이적이지 않다.

    새로 진단되는 제1형 당뇨에서 가장 흔하게 검출되는 자가항체 중 하나 (약 70~80%).

    Insulinoma-Associated-2 Autoantibodies

    IA-2A

    베타세포 항원에 대한 자가항체로 비특이적

    제1형 당뇨의 약 60%에서 검출

    Insulin Autoantibodies

    IAA

    인슐린에 대한 자가항체. 인슐린은 베타세포에 특이적인 유일한 항원.

    소아 제1형 당뇨의 약 50%에서 검출; 성인에서는 흔하지 않다.

    내인성 인슐린에 대한 항체와 외인성 인슐린에 대한 항체를 구분할 수 없음

    소아에서 발견되는 자가항체는 종종 성인에서 나타나는 것과 다릅니다. IAA는 대개 어린 소아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는 표지자입니다. 병이 진행됨에 따라 이것은 사라질 수도 있으며, ICA, GADA, IA-2A가 더 중요해집니다. IA-2A는 제1형 당뇨 발병 시 GADA나 ICA 보다 덜 흔하게 나타납니다. 제1형 당뇨가 새로 발병한 소아 환자의 약 50%가 IAA 양성인 것에 비해, 성인에서의 양성은 흔하지 않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당뇨로 처음 진단받으면 이 자가항체들을 검사하여 제1형과 제2형 당뇨를 구분합니다. 또한 제2형으로 진단받았지만 표준치료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진단을 분명히 하기 위해 검사할 수도 있습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당뇨의 증상이 있는 사람에서 ICA, GADA, IA-2A가 검출되면 제1형 당뇨로 확진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은 소아 당뇨환자에서IAA가 검출되면 제1형 당뇨를 확진할 수 있습니다.

    당뇨 연관 자가항체가 발견되지 않으면 제1형의 가능성은 떨어집니다. 제1형 당뇨이면서 섬세포 자가항체가 검출 한계 미만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매우 드뭅니다. 새로 발병한 제1형 당뇨 환자의 95% 이상 대다수는 적어도 하나의 섬세포 자가항체를 가지게 됩니다.

    당뇨의 증상이 있는 사람에서 ICA, GADA, IA-2A가 검출되면 제1형 당뇨로 확진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인슐린 치료를 받지 않은 소아 당뇨환자에서IAA가 검출되면 제1형 당뇨를 확진할 수 있습니다.

    당뇨 연관 자가항체가 발견되지 않으면 제1형의 가능성은 떨어집니다. 제1형 당뇨이면서 섬세포 자가항체가 검출 한계 미만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매우 드뭅니다. 새로 발병한 제1형 당뇨 환자의 95% 이상 대다수는 적어도 하나의 섬세포 자가항체를 가지게 됩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GADA와 IA-2A 검사법은 자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노동집약적이고 해석에 상당히 전문적인 능력이 필요한 ICA 검사법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섬세포 자가항체는 하시모토갑상선염이나 자가면역 애디슨병과 같은 다른 자가면역 내분비질환 환자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당뇨가 아닌 사람에서 섬세포 자가항체를 검사하는 것은 연구 목적으로만 시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용 검사에서는 이런 섬세포 자가항체 검사법이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제1형 당뇨 발병을 예측하는 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당뇨가 아닌 사람에서 섬세포 자가항체가 많이 검출될수록 이후에 제1형 당뇨로 발전할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당뇨가 아닌 사람이 하나 이상의 섬세포 자가항체가 있고 포도당 주입에 대한 인슐린 반응성이 낮으면 제1형 당뇨에 대한 위험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ICA가 검출되고 인슐린 반응성이 낮은 제1형 당뇨 환자의 일촌(first degree relative)은 5년 이내에 제1형 당뇨가 발병될 위험이 50% 이상입니다. 
    현재까지 제1형 당뇨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기 때문에 섬세포 자가항체에 대한 일반 대중, 또는 제1형 당뇨 환자의 일촌에 대한 선별검사는 연구 목적을 제외하고는 추천되지 않습니다. 
    인슐린 주사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외인성 인슐린에 대한 항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IAA 검사는 이런 종류의 항체와 내인성 인슐린에 대한 자가항체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미 인슐린 치료를 시작한 환자에게 이 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라고 생각되어 인슐린 치료를 받은 환자는 제1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 검사를 시행할 수 없습니다. 

    GADA와 IA-2A 검사법은 자동화되어 있기 때문에, 노동집약적이고 해석에 상당히 전문적인 능력이 필요한 ICA 검사법보다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섬세포 자가항체는 하시모토갑상선염이나 자가면역 애디슨병과 같은 다른 자가면역 내분비질환 환자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당뇨가 아닌 사람에서 섬세포 자가항체를 검사하는 것은 연구 목적으로만 시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용 검사에서는 이런 섬세포 자가항체 검사법이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 제1형 당뇨 발병을 예측하는 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당뇨가 아닌 사람에서 섬세포 자가항체가 많이 검출될수록 이후에 제1형 당뇨로 발전할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당뇨가 아닌 사람이 하나 이상의 섬세포 자가항체가 있고 포도당 주입에 대한 인슐린 반응성이 낮으면 제1형 당뇨에 대한 위험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ICA가 검출되고 인슐린 반응성이 낮은 제1형 당뇨 환자의 일촌(first degree relative)은 5년 이내에 제1형 당뇨가 발병될 위험이 50% 이상입니다. 

    현재까지 제1형 당뇨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기 때문에 섬세포 자가항체에 대한 일반 대중, 또는 제1형 당뇨 환자의 일촌에 대한 선별검사는 연구 목적을 제외하고는 추천되지 않습니다. 

    인슐린 주사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외인성 인슐린에 대한 항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IAA 검사는 이런 종류의 항체와 내인성 인슐린에 대한 자가항체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이미 인슐린 치료를 시작한 환자에게 이 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라고 생각되어 인슐린 치료를 받은 환자는 제1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이 검사를 시행할 수 없습니다. 

  • 이 검사들을 당뇨병 진단에 이용할 수 있습니까?

    아닙니다. 다른 유형의 당뇨뿐만 아니라 제1형 당뇨도 혈당이나 당화혈색소(A1c)를 검사하여 진단합니다. 자가항체 검사는 이미 당뇨병이 진단된 상태에서 제1형과 제2형을 구분하기 위해서 이용합니다. 

  • ICA, GADA, IA-2A 자가항체는 베타세포를 파괴합니까?

    이 자가항체들은 베타세포 파괴와 연관이 있고 진행하는 자가면역 과정을 반영하지만 세포 손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닌 것으로 여겨집니다.

  • 조기에 검사하여 베타세포 파괴를 예방할 수 있습니까?

    현재로서는 할 수 없습니다. 다뇨, 체중감소, 고혈당 등 증상이 나타나자마자 당뇨로 진단함으로써, 혈당조절에 도움을 주고 신부전, 망막질환과 같은 당뇨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현재 참고 페이지

Hussain, A. and Vincent, M. (Updated 2009 July 2). Diabetes Mellitus, Type 1.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17739-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January 2010.

Titus, K. (2009 August). Diabetes markers—closer than you think? CAP Today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through http://www.cap.org. Accessed January 2010.

(2008 May). Overview of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ational Diabetes Education Informa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ndep.nih.gov/media/diabetes/youth/youth_FS.htm through http://ndep.nih.gov. Accessed January 2010.

S4 Pagana, K. D. & Pagana, T. J. (© 2007).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8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p 355-356.

Clarke, W. and Dufour, D. R., Editors (© 2006). Contemporary Practice in Clinical Chemistry: AACC Press, Washington, DC. Pp 292-293.

Wu, A. (© 2006). Tietz Clinical Guide to Laboratory Tests, 4th Edition: Saunders Elsevier, St. Louis, MO. Pp 620-621, 630-631.

Kronenberg, H. et. al. (© 2008). Williams Textbook of Endocrinology, 11th Edition: Saunders Elsevier, Philadelphia, PA. Pp 1399.

Kasper DL, Braunwald E,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eds (200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ition, McGraw Hill, Pg 2156.

Matti Ankelo, et al. Time-Resolved Immunofluorometric Dual-Label Assay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Autoantibodies to GAD65 and IA-2 in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Clinical Chemistry. 2007;53:472-479.

Henry's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by Laboratory Methods. 21st ed. McPherson R, Pincus M, eds. Philadelphia, PA: Saunders Elsevier: 2007, 956.

이전 참고 페이지

Maclaren, N. and Marker, J. (2002 December). Guidelines & Recommendations for Laboratory Analysis in the Diagnosis &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Weill College of Medicine of Cornell University, NACB Laboratory Medicine Practice Guideline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acb.org/temporary/Maclaren2.htm through http://www.nacb.org.

Kimpimäki, T. et. al. (2000). Disease-Associated Autoantibodies as Surrogate Markers of Type 1 Diabetes in Young Children at Increased Genetic Risk.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Vol 85 No. 3 1126-1132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jcem.endojournals.org/cgi/content/full/85/3/1126 through http://jcem.endojournals.org.

Borg, H. et. al. (2001). High Levels of Antigen-Specific Islet Antibodies Predict Future ß-Cell Failure in Patients with Onset of Diabetes in Adult Ag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86 (7): 3032. (2001) [On-line journal]. Available online at http://jcem.endojournals.org/cgi/reprint/86/7/3032 through http://jcem.endojournals.org.

Achenbach, P. et. al. (2004). Stratification of Type 1 Diabetes Risk on the Basis of Islet Autoantibody Characteristics. Diabetes 53:384-392 [On-line journal]. Available online at http://diabetes.diabetesjournals.org/cgi/content/full/53/2/384 through http://diabetes.diabetesjournals.org.

(© 2005).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 Antibody. ARUP's Guide to Clinical Laboratory Testing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arup-lab.com/guides/clt/tests/clt_a287.jsp#1149613 through http://www.arup-lab.com.

(© 2005). Islet Cell Antibody, IgG. ARUP's Guide to Clinical Laboratory Testing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arup-lab.com/guides/clt/tests/clt_a25b.jsp#1153005 through http://www.arup-lab.com.

(© 2005). IA-2 Antibody. ARUP's Guide to Clinical Laboratory Testing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arup-lab.com/guides/clt/tests/clt_alpb.jsp#2441172 through http://www.arup-lab.com.

Dupré, J. & Mahon, J. (2000 August). Diabetes-Related Autoantibodies and the Selection of Subjects for Trials of Therapies to Preserve Pancreaticß-Cell Function in Recent-Onset Type 1 Diabetes. Diabetes Care, (23): 8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through http://care.diabetesjournals.org.

Rewers, M. (2005 October, Updated). Type I Diabetes: Molecular, Cellular, and Clinical Immunology, Chapter 9 Epidemiology of Type I Diabetes. Barbara Davis Center for Childhood Diabetes, UCDHSC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uchsc.edu/misc/diabetes/oxch9.html through http://www.uchsc.edu.

Eisenbarth, G. (2003 November). Chapter 11 Prediction of Type I Diabetes: The Natural History of the Prediabetic Period. Type I Diabetes: Molecular, Cellular, and Clinical Immunology, Barbara Davis Center for Childhood Diabetes, UCDHSC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uchsc.edu/misc/diabetes/oxch11.html through http://www.uchsc.edu.

Winter, WE. Diabetes disease management: differentiating type 1 and type 2 diabetes. Clinical Laboratory News. 2005; 31(7):14-16.

Winter, W.E. Autoimmune Disorders that Influence Carbohydrate Metabolism (Chapter 24). In: Clinical and Laboratory Evaluation of Human Autoimmune Diseases. Nakamura R.M., Keren, D.F., Bylund D.J. (eds): ASCP Press, Chicago, 2002, Pp:345-372.

Winter, W.E. Autoimmune Endocrinopathies. In: Pediatric Endocrinology, Fourth Edition, F. Lifshitz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New York, 2003, Pp 683-720.

Winter, W.E. and Signorino, M. R. Immunologic Disorders in Infants and Children (5th edition). In: Autoimmune Endocrinopathies. E.R. Stiehm (ed), W.B. Saunders Company, Philadelphia, Pennsylvania, 2004, Pp 1179-1221.

William Winter, M.D. Professor of Pathology and Pediatrics, University of Florida School of Medicine, Gainesville, 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