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β2마이크로글로불린
B2M
Thymotaxin
정식 명칭
베타2마이크로글로불린(Beta2 Microglobulin, Serum or Urine)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11일.
요약
검사의 목적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또는 림프종의 중증도와 예후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검사합니다.

여러 신장질환을 구분하고 신장 손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다발성 골수종이나 기타 다른 암을 진단 받았을 때, 때때로 치료 반응을 모니터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신장의 기능 이상과 관련된 증상을 보일 때 검사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무작위 혹은 24시간 소변, 뇌척수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β2마이크로글로불린(B2M)은 인체 내 거의 모든 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체액에 존재하며,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및 림프종과 같은 암이나 염증성 질환이 있을 때 혈액 내 농도가 증가합니다. B2M은 혈액, 소변, 드물게 뇌척수액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신장에서 B2M은 혈액 투과 장치인 사구체를 통과하여 우리 몸에 필요한 물,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과 기타 다른 물질들을 재흡수하는 구조물인 신세뇨관에서 재흡수됩니다. 정상적으로 B2M은 소변에 매우 소량 존재하지만 신세뇨관이 손상되거나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재흡수가 감소하여 소변 내 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투석을 받고 있는 신장질환 환자의 경우, B2M은 장쇄의 단백질을 만들어 관절이나 조직에 침착하여 경직과 통증을 유발합니다. 이 같은 상태를 B2M 투석관련 아밀로이드증이라 합니다.

백혈병이나 림프종 같은 혈액세포암이 뇌에도 생겼을 때 뇌척수액에서 B2M 농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발성 경화증 같은 몇몇 만성 질환과 HIV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무작위 혹은 24시간 동안 모은 소변도 검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사용되는 뇌척수액은 의사가 환자의 허리에서 요추천자(척추천자)라고 불리는 시술을 통해 검체를 얻습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β2마이크로글로불린(B2M) 검사의 특징은 혈액세포암의 종양표지자로 유용하고, 신장 손상 여부를 볼 때와 사구체 신장질환과  세뇨관 신장질환을 구분할 때도 유용하다는 점입니다. B2M 은 어떤 특정 질환에 대해 진단적이지는 않지만, 환자의 신장의 상태와 예후에 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합니다.

    • 종양표지자로서: 혈액B2M검사는 다발성 골수종의 중증도와 병기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얻기 위해 처방될 수 있으며, 때때로 치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처방되기도 합니다. B2M은 존재하고 있는 암의 양, 즉 종양의 부하(burden)와 연관성이 있어 백혈병과 림프종 같은 암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서 검사할 수 있습니다.
    • 신장질환에서: 혈액과 소변에서 B2M 검사는 신장 손상과 신장질환을 평가하고, 사구체와 신세뇨관에 영향을 주는 질환을 구별하기 위해 BUN, 크레아티닌, 미세알부민과 같은 다른 신장 기능 검사와 함께 처방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를 모니터하고, 거부반응을 나타내는 조기 징후를 감지하기 위해 처방될 수 있으며, 고농도의 카드뮴과 수은에 직업적으로 노출된 환자를 모니터하기 위해서도 처방됩니다.
    • 드물게, 뇌척수액의 B2M검사는 질환이 중추신경계를 침범했는지 평가하기 위해 처방될 수 있습니다. B2M검사는 보통 B2M 투석 관련 아밀로이드증을 발견하거나 모니터하기 위해서는 처방되지는 않으며 염증 질환이나 HIV 감염을 모니터하기 위해서 처방되지도 않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B2M 검사는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받은 환자의 초기 정밀검사 중에 질병의 병기를 결정하기 위해, 주기적으로는 치료효과를 모니터하기 위해 처방될 수 있습니다. 때때로 백혈병이나 림프종 환자에서 예후에 대한 판단을 돕기 위해 처방될 수 있습니다.

    혈액과 소변의 B2M 검사는 환자가 신장 기능이상과 관련된 증상을 보이는 경우와 사구체와 신세뇨관 질환을 구분하기 위해 처방 될 수 있습니다. 소변검사는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나 고농도의 카드뮴이나 수은에 노출된 환자를 모니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처방될 수 있습니다.

    뇌척수액 B2M검사는 드물지만 백혈병이나 림프종이 중추신경계를 침범했는지 보기 위해 처방될 수 있습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혈액과 소변의 B2M 농도 증가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나 특정 질환이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증가된 농도는 질병활성도와 종양 부하(종양의 양)를 반영합니다.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또는 림프종으로 진단받은 환자에서 B2M 농도가 상당히 증가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B2M 농도 저하는 환자가 치료에 반응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농도 변화가 없거나 증가된 경우는 치료에 반응하지 않음을 시사합니다.

    신장질환의 징후를 보이는 환자에서 혈액 B2M 농도는 증가하고 소변 농도는 낮다면 사구체 기능 이상과 관련된 질환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만일 혈액 B2M 농도는 낮고, 소변 농도가 높다면 신세뇨관의 손상이나 신세뇨관 질환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장 이식 환자의 소변에서 B2M 농도가 증가했다면 초기 거부반응을 의미합니다. 고농도의 카드뮴이나 수은에 노출된 환자에서의 B2M 농도 증가는 초기 신장 기능이상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백혈병이나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환자의 뇌척수액 내 B2M 농도 증가는 중추신경계 침범했을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낮은 B2M 농도는 정상으로 간주합니다. 소변과 뇌척수액에서 B2M은 측정이 안될 정도로 낮을 수 있습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세포의 생산이나 파괴 속도가 증가된 상태, 심각한 감염, 거대세포바이러스(CMV) 등의 바이러스 감염, 염증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처럼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상태 등은 B2M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리튬, 사이클로스포린, 시스플라틴, 카보플라틴 및 아미노글라이코사이드 계열의 항생제 등의 약제는 혈액과 소변에서 B2M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최근 핵의학적 시술을 받았거나 조영제를 사용한 경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모든 사람이 β2마이크로글로불린(B2M) 검사를 해야 하나요?

    대부분의 사람은 B2M 검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B2M 검사는 일반인구집단를 대상으로 하는 선별검사용이 아니며 이런 용도로는 유용하지도 않습니다.

  • 진료실에서 검사가 시행될 수 있나요?

    아닙니다. B2M 검사는 전문 장비와 기술이 필요하여 모든 검사실에서 시행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환자의 혈액이나 소변 검체를 전문검사실(참고검사실, reference laboratory)로 보낼 수 있습니다.

  • 환자가 혈액이나 소변 B2M 검사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나요?

    아닙니다. 대부분의 경우, 검사의 목적에 따라 검체가 결정됩니다. 혈액검사 단독, 소변검사 단독, 혹은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는 일반적으로 호환되지 않습니다.

  • B2M이 상승했다면 카드뮴이나 수은에 노출 된 것입니까?

    일반적으로,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는 신장 세뇨관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 신장 손상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카드뮴 또는 수은에 노출 된 적이 있거나 의심되는 경우 의사는 혈액 및/또는 소변의 카드뮴 또는 수은에 대한 특정 검사를 지시할 것입니다 (중금속에 관한 문서 참조).

원문보기

Pagana, K. D. & Pagana, T. J. (© 2007).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8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p 155-156.

Wu, A. (© 2006). Tietz Clinical Guide to Laboratory Tests, 4th Edition: Saunders Elsevier, St. Louis, MO. Pp 742-743.

(© 2008). Multiple Myeloma Disease Overview. Multiple Myeloma Research Foundation [On-line information]. PDF available for download at http://www.multiplemyeloma.org/downloads/about_myeloma/MMRF_Disease_Overview.pdf through http://www.multiplemyeloma.org. Accessed August 2009.

(Modified 2009 July 23). General Information About Multiple Myeloma and Other Plasma Cell Neoplasms. National Cancer Institut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cancer.gov/cancertopics/pdq/treatment/myeloma/patient/ through http://www.cancer.gov. Accessed August 2009.

Basu, A. et. al. (Updated 2008 February 22). Amyloidosis, Beta2M (Dialysis-Related)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246542-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August 2009.

Holmes, R. et. al. (Updated: 2009 July 30). Amyloidosis, Overview.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335414-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August 2009.

(Updated 2008 September). Renal Function Markers - Kidney Disease. ARUP Consult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arupconsult.com/Topics/RenalDz/RenalFunctionMarkers.html?client_ID=LTD through http://www.arupconsult.com. Accessed August 2009.

(© 1995–2009). Overview: Beta-2 Microglobulin (B[2]-M), Urine. Mayo Clinic Mayo Medical Laboratorie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test-catalog/Overview/300243 through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 Accessed August 2009.

(© 1995–2009). Overview: Beta-2-Microglobulin (Beta-2-M), Serum. Mayo Clinic Mayo Medical Laboratorie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test-catalog/Overview/9234 through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 Accessed August 2009.

(2006 May). Amyloidosis and Kidney Disease. National Kidney and Urologic Diseases Information Clearinghous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kidney.niddk.nih.gov/kudiseases/pubs/amyloidosis/ through http://kidney.niddk.nih.gov. Accessed August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