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근육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 결합 항체
AChR 항체
중증근무력증 항체
아세틸콜린 수용체 결합 항체
아세틸콜린 수용체 차단 항체
아세틸콜린 수용체 조절 항체
정식 명칭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수정일 2019년 04월 28일.
요약
검사의 목적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MG)를 진단하기 위해, 그리고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과 중증근무력증을 구별하기 위하여 시행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안검하수, 복시, 씹거나 삼키는 데에 장애가 있을 때, 특정 근육 약화와 같은 중증근무력증을 시사하는 증상이 있을 때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아세틸콜린 수용체 (AChR) 항체는 면역계에서 생성되는 자가항체로 골격근 섬유에 존재하는 아세틸콜린 수용체라는 단백질을 잘못 인식합니다. 이 검사는 혈액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를 검출하고 측정합니다.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신경 세포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화학 물질(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이 결합하는 부위입니다. 신경세포 끝가지 신호가 전달되면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어 근육이 움직이게 됩니다. 아세틸콜린은 신경세포의 끝과 근섬유 사이의 “신경근이음부(neuromuscular junction)”라 불리는 매우 작은 공간을 이동합니다. 근섬유에 도달하면 아세틸콜린은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고 활성화시켜 근육이 수축하도록 합니다.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활성화를 막아 신경세포와 골격근 사이의 신호 전달을 방해하고 근육 수축을 억제하여 근육이 빨리 피로해지도록 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전으로 이루어집니다:

  • 결합 항체가 신경 세포의 수용체에 부착된 후 염증 반응을 일으켜 수용체를 파괴합니다.
  • 차단 항체가 수용체에 부착하여 아세틸콜린이 결합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 조절 항체가 수용체들을 모아서 근육 세포 안으로 흡수되게 하여 신경근이음부에서 제거합니다.

이러한 방해 작용의 결과로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MG)이 발생하게 됩니다.  중증근무력증은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가 존재하여 근육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자가면역질환입니다.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는 각 개인에게서 문제를 일으키는 작용 기전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검출될 수 있으며 “결합”, “차단”, “조절” 등으로 불립니다. 하지만 검사로는 주로 “결합”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결합” 검사가 양성이 아닌데 다른 두 방법이 양성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이러한 다른 방법들은 중증근무력증이 강하게 의심되는데 “결합” 검사가 음성일 경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검사는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MG)를 진단하고,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만성 근육 피로나 약화 등과 같은 질환과 중증근무력증을 구별하기 위하여 시행합니다.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는 신경 세포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방해합니다.

    이러한 작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전으로 이루어집니다:

    • “결합” 항체가 신경 세포의 수용체에 부착된 후 염증 반응을 일으켜 수용체를 파괴합니다.
    • “차단” 항체가 수용체에 부착하여 아세틸콜린이 결합하치 못하도록 합니다.
    • “조절” 항체가 수용체들을 모아서 근육 세포 안으로 흡수되게 하여 신경근이음부에서 제거합니다.

    각 개인에게서 문제를 일으키는 작용 기전에 따라 세 가지 다른 검사법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결합” 항체 측정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결합” 항체가 음성이면 다른 두 검사가 양성인 경우가 드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다른 방법들은 중증근무력증이 강하게 의심되는데 “결합” 검사가 음성일 경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확진을 위하여 한 가지 이상의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검사를 가로무늬근 항체(striated muscle antibody) 검사를 포함한 패널검사로 실시할 수 있습니다.

    결과에 따라 항근육특이 인산화효소(anti-MuSK) 항체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중증근무력증을 앓는 사람은 종종 갑상선이 비대해지거나 흉선종(흉선의 양성 종양)이 있을 수 있습니다. 흉선은 흉골 아래에 위치하며 아동기의 면역계의 중요한 요소이나 사춘기 이후에는 활성이 떨어집니다. 다른 이유로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술 등을 시행하거나 하는 과정에서 흉선종이 발견되면 아세틸콜린 항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아세틸콜린 항체 검사를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아세틸콜린 항체 검사는 다음과 같이 중증근무력증을 시사하는 증상이 있을 때에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안검하수
    • 복시
    • 안구 운동 감소
    • 기도폐색, 침흘림, 구토와 함께 삼키거나 씹는 데에 어려움이 생김.
    • 말이 어눌해짐
    • 목 근육이 약해짐
    • 고개를 드는 것이 힘들어짐
    • 호흡곤란
    • 걷는 것이 힘들어지고 걸음걸이가 변함
    • 특정 근육이 약해지지만 감각은 정상임
    • 근육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약해지고 휴식을 취하면 호전됨

    아세틸콜린 항체 검사는 영상 검사에서 흉선종이 발견되었을 때에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는 정상적으로는 혈액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항체는 자가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자가항체입니다.

    어떤 사람이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가 있고 중증근무력증의 증상이 있으면 중증근무력증을 앍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는 일부 흉선종을 가지고 있는 사람, 페니실아민 같은 약물 치료를 받는 사람, 소세포암 환자, 자가면역간질환 환자, 람버트-이튼 근무력증증후군(신경 말단에서 아세틸콜린 분비에 장애가 있는 질환) 환자에서도 양성일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가 음성이어도 중증근무력증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안구 관련 근육만 영향을 받는) 안구 중증근무력증에서 50%까지, 전신성 중증근무력증의 10-15%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가 음성일 수 있습니다. 항근육특이 인산화효소 항체나 항가로무늬근 항체 검사와 같은 다른 자가항체 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전신성 중증근무력증이 의심되나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검사가 음성인 환자에서 70%까지 항근육특이 인산화효소 항체가 양성일 수 있습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석시닐콜린과 같은 약물 사용은 아세틸콜린 항체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중증근무력증이 있는 환자는 류마티스관절염이나 루푸스 같은 다른 자가면역질환을 가질 확률이 높습니다.

  • 모든 사람이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 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이 검사는 일반 선별검사로 사용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사람은 검사를 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 이 검사는 내가 방문하는 모든 병원에서 실시할 수 있나요?

    아니오, 이 검사는 모든 검사실에서 시행하지는 않는 특별한 검사입니다. 검사를 위해서 특수 검사실로 혈액을 보내서 실시합니다.

  • 중증근무력증이 심장에도 영향을 미치나요?

    아니오, 심근과 평활근의 수용체는 골격근과 달라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중증근무력증은 얼마나 심각한 질환인가요?

    대부분의 환자는 적절한 치료와 모니터링을 통하여 정상이거나 거의 정상에 가까운 삶은 살 수 있습니다.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는 호흡에 관하여는 근육이 약해져서 생기는 호흡무력증입니다. 이 합병증은 응급상황으로 종종 입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 아세틸콜린 수용체 항체가 생기지 않도록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나요?

    아니오, 중증근무력증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아서 예방 조치는 없습니다.

  • 중증근무력증이 전염될 수 있나요?

    중증근무력증은 전염병은 아니나 임산부가 중증근무력증을 앓고 있으면 임산부가 가지고있는 아세틸콜린 항체가 태아로 전달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태아는 출생 수주간 중증근무력증의 증상을 나타낼 있습니다.

  • 중증근무력증은 유전되나요?

    자가면역반응은 유전되지 않습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증상이 비슷한 선천성근무력증을 일으킬 수 있는 유전 결함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유전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현재 참고 페이지

(February 19, 2016)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Myasthenia Gravis Factsheet. Available online at http://www.ninds.nih.gov/disorders/myasthenia_gravis/detail_myasthenia_gravis.htm#3153_5. Accessed April 2016.

(Reviewed June 2015) Myasthenia Gravis Foundation of America. Test and Diagnostic Methods. Available online at http://www.myasthenia.org/WhatisMG/TestDiagnosticmethods.aspx. Accessed April 2016.

(March 23, 2016) Shah A. Myasthenia Gravis. Medscape Reference.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171206-overview. Accessed April 2016.

Meriggioli M, Sanders D. Muscle autoantibodies in myasthenia gravis: beyond diagnosis? Expert Rev Clin Immunol. 2012 Jul; 8(5): 427–438. Available online at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505488/. Accessed April 2016.

(July 16, 2012) Penn A, Kaminski H. Myasthenia Gravis Factsheet. Womenshealth.gov. Available online at http://www.womenshealth.gov/publications/our-publications/fact-sheet/myasthenia-gravis.html. Accessed April 2016.

Mayo Clinic Staff (2015 December 24). Myasthenia gravis. Mayo Clinic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ayoclinic.org/diseases-conditions/myasthenia-gravis/basics/definition/con-20027124. Accessed April 2016.

이전 참고 페이지

Kelly, K. (Updated 2012 March 16). 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Medscape Referenc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2094601-overview#showall. Accessed April 2013.

(© 1995–2013). Acetylcholine Receptor (Muscle AChR) Binding Antibody, Serum. Mayo Clinic Mayo Medical Laboratorie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ayomedicallaboratories.com/test-catalog/Overview/8338. Accessed April 2013.

Haven, T. et. al. (2010) An Algorithm for 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Testing in Patients with Suspected Myasthenia Gravis. Clinical Chemistry v 56 (6) 1028–1040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clinchem.org/content/56/6/1028.full. Accessed April 2013.

Sheth, K. (Updated 2011 June 18). Myasthenia gravi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712.htm. Accessed April 2013.

Sheth, K. (Updated 2011 April 30). 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576.htm. Accessed April 2013.

Hill, H. and Haven, T. (2012 August). 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y Testing, For confirmation and monitoring of autoantibodies in patients with myasthenia gravis. ARUP Technical Information [On-line information]. PDF available for download at http://www.aruplab.com/guides/ug/tests/iconpdf_127.pdf. Accessed April 2013.

(2009 December). Facts About Myasthenia Gravis, Lambert-Eaton Myasthenic Syndrome & Congenital Myasthenic Syndromes. Muscular Dystrophy Associa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mda.org/publications/facts-about-myasthenia-gravis. Accessed April 2013.

(Updated 2012 August 29). Neurology Myasthenia Gravis Reflexive Panel. The University of Iowa (UIHC) Department of Pathology Laboratory Services Handbook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healthcare.uiowa.edu/path_handbook/handbook/test3101.html. Accessed April 2013.

(2013 April 21). Nuromuscular Junction: Myasthenia Gravis. Muscular Dystrophy Austral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da.org.au/Disorders/NMJ/MG.asp. Accessed April 2013.

(© 2012). Acetylcholine Receptor Antibodies. NHS Greater Glasgow and Clyde Informa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hsggc.org.uk/content/default.asp?page=s1470_1_2. Accessed April 2013.

(Reviewed 2011 December) Myasthenia Gravis and Acetylcholine Receptor Autoantibodies. Quest Diagnostics Technical Informa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questdiagnostics.com/testcenter/testguide.action?dc=WP_MyastheniaGravis. Accessed April 2013.

(© 2012). Caring for Children and Supporting Adolescents with Myasthenia Gravis. Myasthenia Gravis Foundation of Americ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yasthenia.org/LinkClick.aspx?fileticket=ygJC0SZLVZ4%3d&tabid=84. Accessed April 2013.

Pagana, K. D. & Pagana, T. J. (© 2011).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10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g 6.

Kasper DL, Braunwald E,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eds, (2005)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ition, McGraw Hill, Pp 2518-2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