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요단백
뇨단백
24시간 뇨단백
소변 단백/크레아틴 비
정식 명칭
요단백(Urine Protein) 및 소변 단백/크레아티닌 비(Protein to Creatinine Ratio)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10일.
요약
검사의 목적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잉여의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해, 신장 기증을 평가하고 모니터하히는 것을 돕기 위해, 그리고 신장 손상을 검출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일상 검사의 일부분, 이전의 양성 소변 단백 검사에 대한 추적 검사, 또는 신장에 영향을 주는 질환을 가진 경우 검사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소변 검체는 무작위 또는 24 시간 소변으로 수집됩니다. 때로는 밤 시간대 수집(오후 11시에서 7시)과 낮 시간대 수집(오전 7 시부 터 오후 11 시까지)이 분리되어 있는 24 시간 소변 검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종종 24 시간 소변 검사 시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혈청 크레아티닌과 단백 수치를 함께 측정 할 수도 있습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정상적으로 단백질은 소변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소변 단백 검사는 소변으로 배출된 단백직을 검출하거나 측정하는 것입니다. 소변 단백 검사에는 여러 가지 다른 종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반정량적 단백 “딥스틱” 검사는 임의뇨 검체를 대상으로 소변검사의 일부로 실시됩니다. 또한, 24시간 소변 검체에서 단백의 양을 측정하여 24시간 당 배출된 단백의 양으로 보고할 수 있고, 임의뇨 검체 내의 단백의 양이 소변 크레아티닌과 함께 측정하여, 소변 단백 대 크레아티닌의 비(UPCR)로 보고되기도 합니다. 근육 대사의 부산물인 크레아티닌은 정상적으로 일정한 비율로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소변 크레아티닌과 임의뇨 단백 검사가 둘 다 시행될 경우, 단백/크레아티닌 비는 24시간 소변 단백검사의 정확도에 근접합니다. 24시간 동안 모든 소변을 모으는 것이 번거롭고 힘들기 때문에, 임의뇨 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가 때때로 24시간 소변 단백 검체를 대신하기도 합니다.

간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인 알부민은 혈중 단백의 약 60%를 차지합니다. 나머지는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한 글로불린의 혼합물입니다. 갈비뼈의 아래에 위치하는 두 개의 신장은 혈액을 여과해 찌꺼기를 제거하고 소변의 형태로 몸 밖으로 배설합니다. 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할 때, 여과된 단백질을 보유하거나 재흡수하여 혈액으로 되돌아가게 합니다. 그러나, 신장이 손상되면, 검출가능한 수준 이상의 단백이 소변에서 발견되기 시작합니다. 종종, 작은 알부민 분자들이 먼저 검출됩니다. 신장의 손상이 지속되면, 소변내의 단백의 양이 증가하고, 글로불린이 소실되기 시작합니다.

단백뇨는 종종 당뇨와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에서 보이며, 소변의 단백 양 증가는 신장 손상 정도가 증가함을 반영합니다. 초기 신장 손상 시, 환자는 종종 무증상입니다. 손상이 진행되거나 또는 단백 소실이 심할 때, 환자는 부종, 숨이 참, 오심 그리고 피로와 같은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다발성 골수종에서와 같이 잉여의 단백 생성 시, 단백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소변에 알부민이 나오는 경우(알부민뇨)는 당뇨와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신장 질환의 민감한 표지자가 됨이 알려져 왔습니다. 따라서, 총 소변 단백과 더불어 소변 내 알부민에 대해 검사가 실시되기도 합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깨끗한 용기에 무작위 소변을 받습니다., 24시간 소변은 24시간의 소변은 모두 모아야 하고, 냉장보관이 필요하며 용기에는 보존제가 없어야 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소변 단백 검사는 소변내 단백을 검출하고 신장 기능을 평가하고 모니터하며, 초기 신장 손상과 질환을 검출하고 진단하고자 실시됩니다. 딥스틱 소변 단백과 같은 반정량 검사는 일반적인  소변검사의 일부로써 소변 내에 단백의 존재를 보기 위한 선별 검사로 사용됩니다. 약간의 또는 중등도 양의 단백이 검출될 경우, 나중에 소변에 여전히 단백이 남아있는지 또는 검출할 수 없는 정도의 수치로 감소했는지를 보기 위해 반복적인 소변검사와 딥스틱 단백 검사를 수행해야 합니다. 첫 검체에 많은 양의 단백이 있거나 단백이 두 번째 검체에도 지속적으로 존재한다면, 24시간 소변 단백이 추후 검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딥스틱  간단백 검사는 일차적으로 알부민을 측정하므로, 의사가 알부민이 아닌 다른 단백들이 배출된다고 의심한다면, 24시간 소변 단백검사를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소변 단백 검사는 단백이 소변에 존재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어떤 종류의 단백이 존재하는지, 단백뇨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원인을 밝히고, 어떤 단백이 얼마나 배설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 혈청과 소변 단백 전기영동 검사가 실시되기도 합니다. 다발성 골수종 및 에서와 같은 비정상적인 단백 생성을 의심한다면 혈청 및 소변 단백 전기영동검사는  더욱 필요합니다. 혈액 내 알부민과 총 단백 수치를 보고 신장과 간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포괄적인 대사 패널(CMP)을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신장 질환 또는 손상이 의심된다면, 신장의  모양을 평가하기 위해 이미지 스캔을 의뢰할 수도 있습니다.

    소아가 딥스틱 소변검사에서 소변 내에 의미 있고 지속적인 단백의 증가를 보인다면 임의뇨 검체에서 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가 처방될 수 있습니다.  소아 때때로 성인에서 종종 명백한 신장의 기능이상 없어도 어느 정도의 일시적인 단백뇨를 보일 수 있고, 특히 낮보다는 밤에 소변으로 더 많은 양의 단백 배설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백뇨의 양이 시간에 걸쳐 변하는지를 보기 위해 간격을 두고 소변을 모니터 할 수 있습니다. 

    24시간 소변 단백 또는 임이뇨 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는 알고 있는 신장 질환 또는 손상이 있는 환자를 모니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딥스틱 소변 단백 그리고 또는 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는 신장기능에 영향을 줄지도 모르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 주기적으로 환자를 선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딥스틱 소변 단백은 소변검사가 시행될 때마다 선별검사로 종종 측정됩니다. 신체 검사, 임신의 일련검사, 요로감염이 의심될 때, 병원 입원 검사의 일부, 또는 신장 기능의 평가를 위해 행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이전의 딥스틱 검사에서 단백에 대해 양성이었을 때 단백 배설이 지속적인지를 보기 위해 행해질 수 있습니다.

    24시간 소변 단백은 딥스틱 검사 결과에서 소변 내에 많은 양의 단백이 존재한다는 소견이 나타났을 때 또는 단백이 지속적으로 존재할 때 추후 검사로 의뢰될 수 있습니다. 딥스틱은 일차적으로 알부민을 측정하므로, 알부민이 아닌 다른 단백이 배출된다고 의심된다면, 딥스틱에서 거의 단백이 검출되지 않는다 해도 24시간 소변 단백 검사를 의뢰할 수 있습니다.

    단백뇨의 원인은 감별하고, 어떤 단백이 얼마나 배설되는지를 정확히 알기 위해 소변 단백 전기영동 검사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혈액에서 특정 비정상 단백 생성이 의심될 때에는 또한 혈청 단백 전기영동 검사가 의뢰될 수 있습니다. BUN크레아티닌과 같은 다른 혈액 검사들이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의뢰될 수 있고, 알부민 또는 총단백검사가 혈액 내 단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될 수 있습니다.

    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는 딥스틱 소변검사에서 의미 있고 지속적인 단백의 증거를 보일 때, 임의뇨 검체를 통해 의뢰될 수 있습니다. 또한 알고 있는 신장 질환 또는 손상이 있고 의료진이 장기간에 걸쳐 신장 기능을 모니터 하고자할 때 실시되기도 합니다. 무작위 소변 검체를 통한 딥스틱 소변 단백 또는 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는 환자가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을 때, 신장 기능에 대한 영향 유무를 선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소변 내 단백은 경고 징후로서 신장 손상 또는 질환에 의한 것일 수도 있지만, 감염, 약물복용, 심한 운동 또는 정서적∙신체적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인 상승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소변 내 단백이 낮에는 검출되지만, 밤이나 누워 있을 때 채취된 소변에서는 관찰되지 않기도 합니다(기립성 단백뇨). 임신한 여성에서 증가된 소변 단백 수치는 전자간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장 손상이 있을 때, 단백의 양은 손상의 정도와 일반적으로 연관이 있고, 검출되는 단백 양이 증가되는 경우는 손상범위의 확대를 의미합니다. 단백뇨는 많은 질환과 상태와 연관되어 있고 다음을 포함합니다:

    • 아밀로이도증
    • 방광암
    • 울혈성 심장 질환
    • 당뇨
    • 신장에 해로운 약물 치료
    • 사구체염
    • 굳파스처 증후군
    • 중금속 중독
    • 고혈압
    • 신장 감염
    • 다발성 골수종
    • 다낭성 신 질환
    • 전신 홍반성 루푸스
    • 요로 감염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소변에서 단백을 검출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검사법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딥스틱에서 단백 양성인 경우는 혈액, 정액 또는 소변 내 질분비물과 같은 단백질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딥스틱은 일차적으로 알부민을 측정하기 때문에, 소변내 상당 양의 다른 단백이 존재할 때에도, 알부민이 없다면 때때로 정상일 수 있습니다. 24시간 소변 검체는 24시간에 걸친 단백 배설율을 알려줍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모든 소변이 수집될 때에만 정확할 것입니다. 단백 대 크레아티닌 비는 검체가 수집될 때 소변에 얼마나 많은 단백이 들어있는지에 대한 짤막한 묘사입니다. 비율이 증가되어 있다면, 단백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며, 결과가 음성이라면, 그 시간에 환자가 측정 가능한 양의 단백을 배설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 집에서 소변 내 단백을 검사할 수 있나요?

    불가능합니다. 

  • 신장 손상은 없어질 수 있나요?

    일반적으로 그럴 수 없습니다. 목표는 손상을 최소화하고 신장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신장 질환과 손상을 초기에 검출하는 것입니다. 검출된 단백뇨가 신장 감염 또는 요로 감염으로 인한다면, 감염이 해결되면 신장은 종종 정상기능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원인이 약물 때문이라면, 대부분의 경우 약물이 중단되면, 신장은 정상 또는 거의 정상 기능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 단백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단백을 좀더 섭취해야 하나요?

    의료진과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심한 단백 부족을 겪고 있다면, 이것에 대해 얘기가 되어야 하지만, 추가적으로 단백을 섭취하는 것은 신장에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줄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원문보기

현재 참고 페이지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 2007).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8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p 971-978.

Clarke, W. and Dufour, D. R., Editors (2006). Contemporary Practice in Clinical Chemistry. AACC Press. Washington, DC. Pp 312-317.

Wu, A. (2006). Tietz Clinical Guide to Laboratory Tests. Fourth Edition. Saunders Elsevier. St. Louis, Missouri. Pp 916-919.

Mushnick, R. (2007 October 22, Updated). Protein – urin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580.htm. Accessed on 9/30/08.

Mushnick, R. (2007 October 22, Updated). 24-hour urine protein.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622.htm. Accessed on 9/30/08.

Aggarwal, N. et. al. (2008 April 22). A Prospective Comparison of Random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 vs 24-hour Urine Protein in Women With Preeclampsia. Medscape J Med. 2008;10(4):98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571729 through http://www.medscape.com. Accessed on 9/30/08.

(2005 November). Proteinuria: Approach to the Genitourinary Patient. Merck Manua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mpe/sec17/ch226/ch226j.html?qt=urine%20protein&alt=sh through http://www.merck.com. Accessed on 9/30/08.

Lerma, E. and McLaughlin, K. (2007 February 5, Updated). Proteinuria.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emedicine.com/med/TOPIC94.HTM through http://www.emedicine.com. Accessed on 9/30/08.

이전 참고 페이지

Thomas, Clayton L., Editor (1997).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Company, Philadelphia, PA [18th Edition].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2001).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5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2004 March 17, Updated) A.D.A.M. editorial, Agha, I., previously reviewed. Protein-urin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580.htm.

Brose, M, Updated (2003 May 8). Protein electrophoresis – urine.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589.htm.

Carroll, M. and Temte, J. (2000 September 15). Proteinuria in Adults: A Diagnostic Approach. American Family Physician [On-line journal]. Available online at http://www.aafp.org/afp/20000915/1333.html through http://www.aafp.org.

Loghman-Adham, M. (1998 October 1). Evaluating Proteinuria in Children. American Family Physician [On-line journal]. Available online at http://www.aafp.org/afp/981001ap/loghman.html through http://www.aafp.org.

(2003 June) Proteinuria. Kidney and Urologic Diseases Information Clearinghouse, NIH Publication No. 03-4732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kidney.niddk.nih.gov/kudiseases/pubs/proteinuria/ through http://kidney.niddk.nih.g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