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응고인자I
섬유소원 활성도
기능적 섬유소원
섬유소원 항원
정식 명칭
섬유소원 활성도(Fibrinogen Activity) 및 섬유소원 항원 검사(Fibrinogen Antigen Assays)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10일.
요약
검사의 목적

가능한 출혈장애나 혈전 발생에 대한 조사의 일부분으로서, 특히 섬유소원의 농도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때때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출혈이나 혈전 발생이 있을 때; 프로트롬빈시간이나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이 연장되었을 때; 유전성 섬유소원 결핍이나 이상이 있는 친척이 있을 때; 심장 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할 때 수행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손가락 끝에서 채혈한 모세혈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섬유소원은 응고인자(제 I 인자) 이며, 혈전 형성에 필수적인 단백입니다. 이는 간에서 생성되고 다른 응고인자와 함께 필요할 때 순환계로 방출됩니다. 보통, 조직이나 혈관벽이 손상되면 지혈 과정이 시작되어 출혈을 멈추게 하기 위해 손상 부위에 혈병을 형성합니다. 혈소판이라고 하는 작은 세포 조각이 그 위치에 들러붙어 모이고, 응고인자가 교대로 활성화되면서 응고 연속단계가 시작됩니다. 응고 연속단계가 완성되어감에 따라 수용성 섬유소원이 불용성의 섬유소 실로 전환됩니다. 이 섬유소 실들은 서로 교차 결합하여 섬유소 그물망을 형성하여 손상 부위를 안정시킵니다. 섬유소 그물은 혈소판과 함께 손상 부위에 들러붙어서 안정된 혈전을 형성합니다. 이 장벽은 추가적인 혈액 손실을 막고 손상된 부위가 나을 때까지 그 부위에 남아있습니다.

안정된 혈전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혈소판과 각 응고인자들의 수가 충분해야 하고 각각은 정상적으로 작용해야 합니다. 응고인자나 혈소판이 너무 적거나 기능장애가 있으면 출혈이나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혈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로 섬유소원 검사를 포함한 몇 가지 검사실 검사가 있습니다. 응고검사는 검사실 환경 (생체 외) 에서 인위적으로 일어나는 것에 근거하므로 체내 (생체 내) 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반드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검사들은 지혈 시스템의 특별한 구성요소들을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에 대해서는 응고 연속단계의 설명을 참조). 섬유소원 활성도 검사는 수용성의 섬유소원이 섬유소 실로 전환되는 지혈과정의 일부분을 평가합니다. 트롬빈을 검사 샘플에 첨가하면, 섬유소원 검사는 응고인자의 나머지 단계를 뛰어넘고 섬유소원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 섬유소원 활성도 검사는 표준량의 트롬빈을 혈장에 첨가한 후 섬유소 응괴가 생성되는 시간을 측정합니다. 이 검사는 섬유소원이 섬유소로 전환되는 능력을 평가하는 것 입니다. 직접적으로 응괴가 생성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활성 섬유소원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응괴 형성 시간이 연장되는 것은 정상 섬유소원 농도의 감소 또는 섬유소원의 기능이상 때문일 수 있습니다.
  • Ÿ 섬유소원 항원 검사는 섬유소원 항체를 사용하여 혈액 검체에서 섬유소원과 결합하게 합니다. 이 검사를 통해 섬유소원의 활성도가 아닌 섬유소원의 양 측정이 가능합니다.

섬유소원은 급성기 반응물질이라 불리는 몇몇 혈액 인자들 중의 하나이기도 합니다. 조직의 급성 염증이나 손상을 초래하는 상태에서 섬유소원은 다른 급성기 반응물질들과 함께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섬유소원을 포함한 이 급성기 반응물질들에 대한 검사는 체내 염증의 정도를 측정하는 데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소아일 경우 란셋(세모날)으로 손가락 끝을 빠르게 찔러서 모세혈 검체를 채취할 수 있습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섬유소원 활성도 검사는 가능한 출혈 장애나 혈전 발생을 조사할 때 처방됩니다. 이는 프로트롬빈시간(PT) 이나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PTT) 이 비정상일 때나 이유 없는 계속된 출혈의 발생이 있을 때 처방될 수 있습니다. 파종성혈관내응고(DIC) 나 비정상 섬유소용해를 진단하는 데 프로트롬빈시간,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혈소판 기능 검사, 섬유소 분해산물(FDP) 및 D-이합체 등과 함께 측정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섬유소원 활성도 검사는 간질환과 같은 진행성 질환의 시간 흐름에 따른 상태를 모니터링 할 때 처방되고, 드물게는 파종성혈관내응고와 같은 후천적인 상태의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 할 때 처방됩니다.

    섬유소원 항원 검사는 섬유소원 활성도가 감소한 것이 섬유소원의 결핍 때문인지 기능이상 (이상섬유소원혈증) 때문인지 조사할 때 추적검사로 때때로 처방됩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섬유소원 활성도 검사는 설명할 수 없거나 오래 계속되는 출혈, 혈전증, 비정상 프로트롬빈시간이나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검사결과가 있을 때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검사들과 함께 처방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파종성혈관내응고나 비정상 섬유소용해의 증상이 있을 때나 이에 대한 치료 중일 때도 처방될 수 있습니다.

    섬유소원 활성도 검사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 응고인자 결핍이나 기능장애가 의심될 때, 또는 후천적 출혈 장애가 있는 사람의 시간 흐름에 따른 응고 능력을 평가하고 모니터 링할 때 실시할 수 있습니다. 섬유소원 항원 검사는 섬유소원 활성도가 저하되어 있을 때 섬유소원이 불충분한지 기능이상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섬유소원 활성도 검사를 다른 검사들과 함께 시행합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정상 섬유소원 활성도 결과는 보통 정상 혈액 응고 능력을 반영합니다. 섬유소원 활성도가 확연히 감소하는 것은 섬유소원의 감소나 기능이상 때문일 것입니다. 섬유소원의 활성도와 항원 농도가 줄어드는 것은 안정된 혈전을 형성하는 능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만성적으로 낮은 농도는 무섬유소원혈증이나 저섬유소원혈증과 같은 선천적인 상태나 간질환 말기나 중증 영양실조와 같은 후천적인 상태에 기인한 생성 감소와 관계 있을 수 있습니다. 급격히 낮아진 농도는 파종성혈관내응고와 비정상 섬유소용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섬유소원의 소진과 관계 있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빠른 대량의 혈액 수혈 후에도 섬유소원 농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섬유소원은 급성기 반응물질인데, 이것은 염증이나 조직 손상을 일으키는 어떠한 상태에서라도 섬유소원의 농도가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섬유소원의 농도가 높은 것은 비특이적인데, 즉 그것은 장애의 원인과 위치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보통 섬유소원 농도의 상승은 일시적이고, 기저질환의 문제가 해결된 후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농도 상승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습니다:

    • Ÿ   급성 감염
    • Ÿ   암
    • Ÿ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증
    • Ÿ   뇌졸중
    • Ÿ   염증성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과 사구체신염같은)
    • Ÿ   외상

    섬유소원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혈전이 생길 위험이 커지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1개월 내의 혈액 수혈은 섬유소원 검사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동화성 스테로이드(anabolic steroid),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우로키나아제(urokinase) 및 발프로산(valproic acid) 등의 약물들은 섬유소원 농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중등도의 섬유소원 증가는 임신, 흡연, 경구피임제나 에스트로겐의 사용에서 때때로 보입니다.

    이상섬유소원혈증은 간에서 섬유소원 생산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초래되는 드문 응고 장애입니다. 간에서 기능장애가 있는 섬유소원을 생성하면, 그것은 섬유소로 변환될 때 분해에 저항성이 생기거나 응고 연속단계 내에서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이상섬유소원혈증은 정맥혈전증의 위험도를 높일 수도 있고 드물게는 가벼운 출혈 경향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섬유소원 결핍이나 이상섬유소원혈증이 있는 사람은 상처 치료가 잘 되지 않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선천성 이상섬유소원혈증, 저섬유소원혈증, 무섬유소원혈증이 있을 때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자유전학 검사가 자주 시행됩니다. 이 돌연변이에 대한 검사는 다른 가족들에게서도 시행될 수 있습니다.

    간질환이 있는 환자는 출혈이나 혈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후천성 이상섬유소원혈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섬유소원 농도를 낮추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섬유소원 농도가 임신이나 급성 염증 과정 때문에 상승하였다면, 기저질환의 문제가 해결되면 저절로 정상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류마티스관절염 같이 후천적인 질환 때문에 상승했다면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을 것입니다. 섬유소원 농도가 상승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증가시키고 있다면 콜레스테롤을 낮추거나 고밀도지단백(HDL) 을 상승시키는 것 처럼 다른 심장병 위험 인자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생활방식을 바꿀 수 있습니다. 오메가-3(Omega-3)와 오메가-6(omega-6) 지방산(어유 등)이 풍부한 음식은 섬유소원 농도를 낮춘다는 몇몇 증거도 있습니다.

  • 섬유소원, D-이합체, 섬유소분해산물(FDP) 검사 사이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섬유소원 활성도 검사는 섬유소원이 섬유소로 전환되는 것을 평가합니다; 섬유소원 항원 검사는 불용성인 섬유소로 바뀌어 섬유소 그물로 교차결합하기 전 상태인 수용성인 제 1인자 (혈액에 녹아있는) 의 양을 측정합니다. D-이합체와 섬유소분해산물 검사는 필요하지 않게 된 혈전을 부수는 능력인 섬유소용해계의 상태를 평가합니다. 섬유소분해산물은 용해된 응괴의 모든 조각들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반면 D-이합체는 더 특이적으로, 교차결합 되었다가 부서진 조각들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 감소되거나 비정상적인 섬유소원을 가지고 있을 때, 그것을 모를 수도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섬유소원의 농도나 활성도가 감소해 있을 경우에도 많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응고를 보입니다. 수술을 하거나 외상을 받았을 때 예상보다 오래 출혈이 계속되거나, 수술 전에 하는 선별검사를 받을 때처럼 다른 이유로 응고와 관련된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한 그러한 상태를 알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원문보기

현재 참고 페이지

Dugdale, D. (Updated 2009 March 2). Fibrinogen.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650.htm. Accessed September 2010.

Balasa, V. (Updated 2010 July 28). Inherited Abnormalities of Fibrinogen.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960677-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September 2010.

Brick, W. et. al. (Updated 2009 November 17). Dysfibrinogenemia.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199723-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September 2010.

Dugdale, D. (Updated 2009 March 2). Congenital afibrinogenemia.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1313.htm. Accessed September 2010.

Spence, R. et. al. (Updated 2010 January 12). Hemostatic Disorders, Nonplatelet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emedicine.medscape.com/article/210467-overview through http://emedicine.medscape.com. Accessed September 2010.

Pagana, K. D. & Pagana, T. J. (© 2007).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8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p 458-459.

Wu, A. (© 2006). Tietz Clinical Guide to Laboratory Tests, 4th Edition: Saunders Elsevier, St. Louis, MO. Pp 404-405.

이전 참고 페이지

Thomas, Clayton L., Editor (1997).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Company, Philadelphia, PA [18th Edition].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2001).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5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Pp 421-422

Coagulation Test Panels. Clinical and Research Laboratories, Florida Hospital Cancer Institut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fhci-labs.com/researchlabs/clinicallabs/hemostasisandthrombosis/panels.htm through http://www.fhci-labs.com.

Elstrom, R. (2001 November 25, Updated). Fibrinogen. MEDLINEplus Health Information,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650.htm.

Laposata, M. & Vancott, E. (2000 January). How to work up hypercoagulability. CAP In the News [On-line Coagulation Case Study]. Available online at http://www.cap.org/CAPToday/casestudy/coag5.html through http://www.cap.org.

Bleeding Disorders. The Merck Manual of Medical Information-Home Edition, Section 14. Blood Disorders, Chapter 155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rkshared/mmanual_home/sec14/155.jsp through http://www.merck.com.

Venomous Bites and Stings. The Merck Manual of Medical Information-Home Edition, Section 24. Accidents and Injuries, Chapter 287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rkshared/mmanual_home/sec24/287.jsp through http://www.merck.com.

Joist, (2000 April 19, Revised 4/19/00). What I Need to Know About Thrombophilia. Saint Louis University, Coagulation Consultant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slucare.edu/clinical/pathlab/coagulation/thrombophilia.shtml through http://www.slucare.edu.

Menta, S. (1999 Spring). The Coagulation Cascade. Physiology Disorders Evaluation, College of Medicine, Univ of Florid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dinfo.ufl.edu/year2/coag/title.html through http://www.medinfo.ufl.edu.

Elstrom, R. (2001 October 21, Updated). Bleeding disorders. MEDLINEplus Health Information,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1304.htm.

Elstrom, R. (2001 October 19, Updated). 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MEDLINEplus Health Information,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0573.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