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명칭
전해질
정식 명칭
전해질 패널검사 (Electrolyte Panel)
문서 작성일
수정일 2017년 12월 09일.
요약
검사의 목적

체액과 전해질 균형의 문제를 발견하기 위해 검사합니다.

검사가 필요한 경우

통상 건강 검진의 일부로, 주치의가 전해질(대개 나트륨 또는 칼륨) 과잉 또는 결핍을 의심할 때, 또는 산-염기 불균형이 의심될 때 검사합니다.

분석대상 검체

정맥혈액

검사 전 준비사항

특이사항 없습니다.

어떤 검사입니까?

전해질은 전하를 띠는 무기물로 녹아있는 염 형태로 신체 조직과 혈액 내에서 존재합니다. 이들은 체세포 내로 영양소를 옮기고 노폐물은 밖으로 배출하게 하여, 건강하게 체액 균형을 유지하고, 체내 pH 수치를 안정화하도록 합니다. 전해질 패널은 체내 주요 전해질인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중탄산염(때론 총 CO2로 보고됩니다)을 측정합니다.

대부분의 나트륨은 체세포 밖, 혈장 내에 존재하며 우리 몸의 체액양을 조절합니다. 칼륨은 주로 체세포 내에 존재하고, 혈장 내에는 소량이지만, 적은 변화량도 매우 중요합니다. 혈장 칼륨 이온 수치의 작은 변화가 심장 박동과 수축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염소는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도록 세포 안과 밖을 이동하고, 그 수치는 보통 나트륨과 대칭입니다. 신장에 의해 배출되고 재흡수되는 중탄산염(또는 총 CO2, 중탄산염의 추정)의 일차 역할은 안정된 pH(산염기 균형)를 유지하는 것이고, 이차 역할은 전해질 중성을 유지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음식을 통해 체내로 흡수된 나트륨, 칼륨, 그리고 염소는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폐는 중탄산염 균형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조절합니다. 이 화학물질들의 균형은 신장과 심장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몇몇 기본 신체 기능들의 기능적 안정의 지표입니다.

전해질 패널은 나트륨, 칼륨, 염소 그리고 중탄산염(또는 총 이산화탄소) 각각의 검사로 구성됩니다. 관련된 “검사”는 음이온 차가 있고, 이는 전해질 패널의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된 실제 수치입니다. 비정상적인 음이온 차의 영향은 비특이적이지만 기아상태나 당뇨와 같은 대사이상의 일종 또는 옥살레이트, 클리콜레이트, 아스피린 같은 독성 물질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음이온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흔한 질문을 참고하십시오.

검체 채취 과정은 어떻게 됩니까?

팔의 정맥에서 채혈합니다.

검사 전 준비사항이 있습니까?

특이사항 없습니다.

Accordion Title
검사의 해석 및 흔한 질문들
  • 검사 결과는 어떻게 활용됩니까?

    전해질 패널은 기본 대사 검사 또는 종합 검사 패널의 구성요소입니다. 또한 이 검사 자체로도 통상적인 검사로서 자주 처방됩니다. 이는 전해질이나 산-염기 불균형을 선별하고 체내 기관 기능에 영향을 주는 불균형 치료의 영향을 감시하기 위하여 이용됩니다. 전해질과 산-염기 불균형은 급성과 만성 질환에서 널리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전해질 패널은 입원 환자나 응급실에서 자주 처방됩니다.

    만일 나트륨 또는 칼륨 등 하나의 전해질이 높거나 낮은 환자가 있다면, 의사는 불균형이 해소될 때까지 감시하기 위하여, 각 전해질을 반복 처방할 것입니다. 만일 산-염기 불균형이 있다면, 의사는 불균형의 심각도를 평가하고 치료 반응을 감시하기 위하여 동맥 혈액 검체 내 pH와 산소와 이산화탄소 수치를 측정하는 혈액 가스 검사를 처방할 것입니다. 

  • 검사는 언제 하게 됩니까?

    이 검사는 부종, 오심, 무력감, 착란 또는 심 부정맥 같은 증상이 있는 환자의 통상적인 선별 검사 또는 진단적 도움 목적으로 처방됩니다. 또한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을 가진 환자의 평가와 전해질 불균형을 유발 할 수 있는 질병 또는 상태이거나 약물 복용 시, 주기적으로 처방됩니다. 전해질은 흔히 고혈압, 심부전, 간 그리고 신장 질환에서 치료를 감시하기 이용됩니다.

  • 검사 결과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전해질 수치는 식사 섭취량, 체내 수분량, 신장에 의해 배출되는 전해질의 양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나트륨을 보존하고 칼륨의 소실을 증가시키는 호르몬인 알도스테론이나, 나트륨의 신장 소실을 증가시키는 나트륨이뇨펩타이드와 같은 요소들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습니다.

    특정 질환 시에는, 하나 이상의 전해질이 비정상 농도를 나타낼 수 있는데, 주치의는 전체적인 균형에 신경을 쓰면서, 특히 환자의 나트륨과 칼륨에 주의를 기울일 것입니다. 신장 기능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체액이 과도하게 저류되는 경우, 정상농도 이하로 나트륨과 염소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과도한 체액 소실이 있는 경우에는 칼륨, 나트륨 그리고 염소가 증가될 수 있습니다. 일부 심장 질환의 경우, 근육과 신경 이상이 있는 경우, 그리고 당뇨 환자에서 한 가지 이상의 전해질 이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전해질 균형이 깨졌는 지를 확인하는 것은 주치의가 원인과 적절하게 균형을 되찾기 위한 치료방법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되지 않은 전해질 불균형은 어지럼증, 경련, 불균칙한 심박동, 심지어 사망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 그 외 중요한 것이 있습니까?

    전해질 불균형과 변화 범위에 따라 저염식이와 같이 식생활을 바꾸고, 전해질 농도를 희석하기 위하여 체액을 증가시키거나,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이뇨제를 섭취하고, 불균형에 대한 약물 치료를 하는 등의 치료법이 활용될 것입니다. 일단 치료가 시작되면, 치료가 잘 되고 있는지 불균형이 다시 발생 되지 않을 것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검사를 해야 합니다.

    칼륨 수치는 검체가 뒤바뀌거나 처리과정의 문제로 가성 증가를 보일 수 있습니다. 혈액 채취 문제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검사를 반복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합성스테로이드, 코티코스테로이드, 배변완화제, 기침약, 경구피임제 같은 약물들은 나트륨수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뇨제, 카바마제핀, 삼환계 항우울제 같은 약물들은 나트륨 수치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나트륨의 혈중 수치에 영향을 주는 약물들은 또한 염소 수치의 변화를 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베이킹 소다의 과다 섭취 또는 제산제를 권장량 이상 복용시 염소 수치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중탄산염(총 이산화탄소) 수치를 증가시키는 약물들에는 플루드로코티손, 바비튜레이트, 중탄산염, 히드로코르티손, 루프 이뇨제와 스테로이드가 있습니다. 중탄산염을 감소시키는 약물로는 메치실린, 니트로푸란토인, 테트라사이클린, 티아자이드 이뇨제와 트리암테렌이 있습니다.

  • 음이온차가 무엇입니까?

    음이온차는 전해질 판넬의 결과를 이용하여 값을 계산되는 값입니다. 이는 음이온차 대사선산증과 비음이온차 대사성 산증을 구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산증은 체내 과도한 산의 축적을 의미합니다; 산증은 많은 세포 기능들을 방해하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인지되어야 합니다. 음이온차는 급성 질환자를 진단하고 감시하기 위한 병원과 응급실에서 흔히 검사됩니다. 만약 음이온차 대사성 산증이라면, 음이온차가 치료의 효과와 기저 상태를 감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특히, 음이온 차는 혈액의 수분부분 내 측정 그리고 비측정 전해질 물질(이온 또는 전해질) 사이의 차이를 평가합니다. 전기적 중성의 법칙에 따라, 양성 이온과 음성 이온의 숫자는 동일해야 합니다. 하지만, 모든 이온들이 통상적으로 측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공식은:

    음이온차 = 나트륨이온 - (염소이온 + 중탄산)

    다른 음이온차 공식도 있지만, 참고 범위가 호환적이지 않습니다. 각 검사실 공식은 참고치가 되기 위하여 정상 범위 확립을 하여야 합니다.

    음이온차는 비특이적입니다. 비측정 음이온의 수가 증가할 때, 음이온차 대사성 산증을 가리키지만 이는 불균형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알려주지 않습니다. 대사성 산증은 산/염기 균형을 다시 회복되도록 치료되어야 하지만, 기저 질환도 알아내어 치료되어야 합니다. 그 원인으로는 조절되지 않는 당뇨, 기아, 신장 손상, 부동액, 과량의 아스피린, 메탄올 같은 강력한 독성물질의 섭취 등이 있습니다. 낮은 음이온차 또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알부민(음이온 단백질)이 감소하고, 면역글로불린(양이온 단백질) 증가 시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문보기

현재 참고 페이지
Clarke, W. and Dufour, D. R., Editors (2006). Contemporary Practice in Clinical Chemistry. AACC Press, Washington, DC. Pp 333-337.

Henry’s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by Laboratory Methods. 21st ed. McPherson R, Pincus M, eds. Philadelphia, PA: Saunders Elsevier: 2007.

(August 14, 2007).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Electrolytes.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2350.htm. Accessed May 2008.

이전 참고 페이지
Thomas, Clayton L., Editor (1997). Taber’s Cyclopedic Medical Dictionary. F.A. Davis Company, Philadelphia, PA [18th Edition].

Pagana, Kathleen D. & Pagana, Timothy J. (2001). Mosby’s Diagnostic and Laboratory Test Reference 5th Edition: Mosby, Inc., Saint Louis, MO.

Carlson, R. and Abbas, A. (2001). Use Of Anion Gap In Acid-Base Defects In The Acutely Ill. Medical Online Review and Database, Snow Tiger Medical System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snowtigermed.com/cgi-local/viewarticle.pl?doc=991203131636 through http://www.snowtigermed.com.

Martin, L. (1999 February). 2. Anion and bicarbonate gaps for diagnosing mixed acid-base disorders [23 paragraphs]. All You Really Need to Know to Interpret Arterial Blood Gases [On-line, Ch 2 of book published b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Available online at http://www.mtsinai.org/pulmonary/noninvasive/gaps.htm through http://www.mtsinai.org.

Fall, P. (2000 March). A stepwise approach to acid-base disorders, Practical patient evaluation for metabolic acidosis and other conditions. Postgraduate Medicine online, 107 (3) [On-line journal]. Available online at http://www.postgradmed.com/issues/2000/03_00/fall.htm through http://www.postgradmed.com.

Brandis, K. (2002 August 14) 3.2 The Anion Gap. Acid-Base Physiology [On-line textbook]. Available online at http://www.qldanaesthesia.com/AcidBaseBook/AB3_2.htm through http://www.qldanaesthesia.com.

Brandis, K. (2002 August 14) 3.4 The Urinary Anion Gap. Acid-Base Physiology [On-line textbook]. Available online at http://www.qldanaesthesia.com/AcidBaseBook/AB3_4.htm through http://www.qldanaesthesia.com.

Harrison, J. (1997 January 5, Modified). Metabolic (including renal) Acid-Base Imbalance. Tulane Medical Pathology Course [On-line information, “classware”]. Available online at http://www.mcl.tulane.edu/classware/pathology/medical_pathology/acid-base-elect/12Metab_problems.html through http://www.mcl.tulane.edu.

(2003) Anion Gap. Michigan State Univ, Dept of Physiology [On-line information for class 442]. Available online: at http://www.psl.msu.edu/class/442/anion_gap.htm through http://www.psl.msu.edu.

(1995-2004). Chapter 59. Disorders of Acid-Base Metabolism. The Merck Manual of Geriatric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rkshared/mm_geriatrics/sec8/ch59.jsp through http://www.merck.com.

(1995-2004). Acid-Base Metabolism. The Merck Manual of Diagnosis and Therapy, Section 2. Endocrine And Metabolic Disorders, Chapter 12. Water, Electrolyte, Mineral, And Acid-Base Metabolism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rkshared/mmanual/section2/chapter12/12g.jsp through http://www.merck.com.

Hornick, D., Editor (2003, Revised). An Approach to the Analysis of Arterial Blood Gases and Acid-Base Disorders. Virtual Hospital, University of Iowa Health Car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vh.org/adult/provider/internalmedicine/bloodgases/ through http://www.vh.org.

Priestley, M. and Lieh-Lai, M. (2004 March 8, Updated). Excerpt from Acidosis, Metabolic. EMedicin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emedicine.com/ped/byname/acidosis-metabolic.htm through http://www.emedicine.com.

Jones, J. and Bosker, G. (2002 December 16) Diagnostic Aids in Emergency Medicine. The Emergency Medicine Reports Textbook of Adult and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Excerpt from On-line Clinical Textbook]. Available online at http://www.thrombosis-consult.com/articles/Textbook/146_diagnosticaids.htm and http://www.thrombosis-consult.com/ClinicalTextbooks2.htm through http://www.thrombosis-consult.com.

Beaven, A. (2002 July 12). Ethylene Glycol and Methanol Toxicity. Univ of NC at Chapel Hil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On-line information]. PDF available for download at http://www.med.unc.edu/medicine/web/ethyleneglycol.pdf through http://www.med.unc.edu.

(2002). Acid-Base Emergencies, Part 1. Texas Society for Respiratory Care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tsrc.org/cert005/ through http://www.tsrc.org.

Welch, J. (1998 April 30, Modified). Increased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Georgetown University, NetScut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family.georgetown.edu/welchjj/netscut/acid_base/Increased_Anion_Gap_Metabolic_Acidosis.html through http://www.family.georgetown.edu.

Welch, J. (1998 April 30, Modified). Normal Anion Gap Metabolic Acidosis. Georgetown University, NetScut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family.georgetown.edu/welchjj/netscut/acid_base/Normal_Anion_Gap_Metabolic_Acidosis.html through http://www.family.georgetown.edu.

(1995-2004). Minerals and Electrolytes. The Merck Manual of Medical Information – Second Home Edition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merck.com/mmhe/sec12/ch155/ch155a.html?qt=electrolytes&alt=sh through http://www.merck.com.

Ben-Joseph, E., Reviewed (2004 July). Dehydration. Familydoctor.org Information for Parents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kidshealth.org/PageManager.jsp?dn=familydoctor&lic=44&article_set=21646 through http://www.kidshealth.org.

Webner, D., Updated (2003 August 18). CO2.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3469.htm.

A.D.A.M. editorial, Updated (2003 October 15). Electrolyte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On-line information]. Available online at http://www.nlm.nih.gov/medlineplus/ency/article/002350.htm.